푸틴 "15일 이스탄불서 만나자"…'30일휴전' 우크라 제안후 발표

"조건없이 협상, 휴전 가능성 배제 않아…협상 방해한 것은 우크라"
튀르키예에도 회담 장소 협조 요청…북한군엔 "따뜻한 감사 표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1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에 직접 대화를 제안했다.

 

그는 대화의 목적이 분쟁의 근본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라며 협상을 통해 새로운 휴전에 합의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푸틴 대통령의 제안이 단순히 서방의 압박에 맞선 시간끌기용인지 아니면 진정성을 담고 있는지, 그의 제안에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어떻게 대응할지 여부에 따라 우크라이나전 종전협상이 새로운 분수령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로이터, 타스, 스푸트니크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이날 새벽 크렘린궁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우크라이나 당국에 오는 15일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협상을 재개할 것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푸틴 대통령은 "우리는 우크라이나와 진지한 협상을 할 것"이라며 "그 목적은 분쟁의 근본 원인을 제거하고 역사적인 관점에서 장기적인 평화를 확립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협상을 통해 러시아만이 아니라 우크라이나도 준수하는 새로운 휴전, 진정한 휴전에 합의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며 "거듭 말하지만 이는 장기적이고 지속 가능한 평화의 첫걸음이 될 것이며 무력 분쟁을 이어가기 위한 전주곡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푸틴 대통령은 자신이 제안한 협상이 우크라이나 침공 초기인 2022년 결렬됐던 협상의 '재개'라고 표현했다. 3년을 넘기며 장기화한 전쟁과 지지부진한 휴전 협상이 러시아의 책임이 아니라는 점을 부각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그는 "우리는 반복적으로 휴전을 제안해 왔고, 한 번도 우크라이나와의 대화를 거부한 적이 없다"며 "2022년의 협상을 방해한 것은 우리가 아니라 우크라이나였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당시 협상의 결과로 공동 성명의 초안이 준비돼 우크라이나 대표단이 서명했지만 서방의 방해로 쓰레기통에 처박혔다"고 했다.

 

협상의 장소를 이스탄불로 정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2022년 협상이 진행됐던 장소에서 이를 재개하자는 것이다.

 

푸틴 대통령은 11일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과 대화할 예정이라며 "그에게 회담을 주재해 달라고 요청할 것이다. 그가 평화적 해결을 위한 의지를 재확인해주시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그는 "러시아는 어떠한 전제 조건 없이 협상에 임할 준비가 됐다"며 "진정 평화를 원한다면 이를 지지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의 제안은 테이블 위에 있다"며 "이제는 국민의 이익보다 개인의 정치적 야망을 우선하는 우크라이나 당국자들이 결정할 차례"라고 압박했다.

 

푸틴 대통령은 우크라이나를 겨냥해 "러시아가 제안한 부활절 휴전은 지켜지지 않았다. 그들은 거의 5천 차례 휴전을 위반했다"고 비난하기도 했다.

 

유럽 지도자들을 향해서도 "역사의 교훈과 우리 국민의 의견을 바탕으로, 조만간 유럽 국가들과 건설적인 관계를 구축할 것이라 낙관적으로 희망한다"며 "반러시아적 발언을 삼가지 않고 공격적인 행동을 하며 무례한 태도로 최후통첩을 하는 이들과도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이는 전날 유럽 4개국(영국, 프랑스, 독일, 폴란드) 정상이 키이우를 찾아 러시아를 향해 조건 없는 30일간의 휴전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제재를 강화하겠다고 압박한 것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

 

푸틴 대통령의 이날 우크라이나에 대한 대화 제의는 유럽 4개국 정상과 우크라이나가 '조건없는 30일간 휴전'을 제안한 이후 나왔다. 푸틴 대통령은 이들 유럽정상과 우크라이나의 휴전제안은 언급하지 않았다.

 

한편 푸틴 대통령은 북한의 군사적 지원과 관련해서는 "개인적으로 북한군 지휘부에 감사의 뜻을 표했으며, 우리의 병사들과 나란히 쿠르스크 접경 지역을 해방시키는 임무를 성심껏 수행해 준 북한군 특수부대 병사들과 지휘관에게도 따뜻한 감사를 표시했다"고 말했다.(연합뉴스)


추천 비추천
추천
0명
0%
비추천
0명
0%

총 0명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