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월 최고 318만원…20년 부으면 평균 112만원 받는다

국민연금 수급자 754만명 돌파, 기금 적립금 1천300조 시대 열려
가입 기간 길수록 수령액 증가…월 200만원 이상 고액 수급자도 8만명

 

1988년 도입된 국민연금 제도가 성숙기에 접어들면서 매달 300만원 넘게 노령연금(수급연령에 도달했을 때 받는 일반적 형태의 국민연금)을 받는 사례가 확인됐다.

 

반면 전체 노령연금 수급자의 평균 수령액은 약 68만원 선으로 나타나 가입 기간에 따른 수령액 격차가 뚜렷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국민연금이 '얼마나 오래, 꾸준히 내느냐'에 따라 노후 보장의 질이 달라진다는 점을 시사한다.

 

28일 국민연금공단의 '2025년 7월 기준 국민연금 공표통계'에 따르면 현재 국민연금을 가장 많이 받는 수급자의 월 수령액은 318만5천40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단순한 용돈 수준을 넘어 실질적인 노후 생활비로서 기능할 수 있는 금액이다. 해당 최고 수령액은 노령연금 수급자 중 연기연금 신청이나 장기 가입 등을 통해 연금액을 불린 결과로 풀이된다.

 

주목할 점은 가입 기간에 따른 평균 수령액의 차이다. 전체 노령연금 수급자의 월평균 수령액은 67만9천924원이었다. 일각에서는 이 금액이 기초생활수급자의 생계급여(1인 가구 기준 최대 77만원 선)보다 낮다며 연금의 실효성을 지적하기도 한다.

 

하지만 통계의 속살을 들여다보면 해석은 달라진다. 국민연금은 가입 기간과 납부 액수에 비례해 수령액이 결정되는 구조다. 실제로 가입 기간이 20년 이상인 '완전 노령연금' 수급자들의 월평균 수령액은 112만539원으로 전체 평균을 훨씬 웃돈다.

 

반면 가입 기간이 10년에서 19년 사이인 경우의 월평균 수령액은 44만2천177원에 그쳤다. 결국, 꾸준히 20년 이상 직장생활이나 지역가입을 유지하며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기초적인 생계 보장 수준을 넘어서는 연금을 확보할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수급 금액별 분포를 살펴보면 국민연금의 현주소가 더 명확히 보인다. 월 20만원에서 40만원 미만을 받는 수급자가 약 217만명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하지만 고액 수급자도 꾸준히 늘고 있다. 월 100만원 이상을 받는 수급자는 약 85만명에 달하며, 월 200만원 이상을 받는 수급자도 8만2천484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과거에 비해 국민연금이 노후 소득의 주요한 축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다.

 

전체적인 연금 수급자의 규모도 지속해서 확대되고 있다. 2025년 7월말 기준으로 국민연금 수급자(일시금 포함 누계)는 754만4천930명을 기록했다. 이 중 매월 연금을 지급받는 연금 수급자는 733만8천371명이다.

 

급여 종류별로 보면 노령연금 수급자가 약 620만명으로 대다수를 차지했고, 유족연금(107만명)과 장애연금(6만8천명)이 뒤를 이었다.

 

국민연금의 재정 건전성을 가늠할 수 있는 기금 적립금 규모는 1천300조원 시대를 열었다. 7월말 기준 기금 운용 금액은 1천304조4천637억원으로, 전년도 말 대비 약 91조원 이상 증가했다. 특히 올해 들어 7월까지의 기금 운용 수익금만 84조1천658억원에 달해 보험료 수입 외에도 운용 수익이 기금 증식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금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보면 국내 채권(325조원)과 해외 주식(467조원)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해외 주식 투자 규모가 국내 주식(199조원)의 두 배를 넘어서면서 글로벌 시장에서의 투자 성과가 국민연금 곳간을 채우는 핵심 동력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번 통계는 국민연금이 '용돈 연금'이라는 오명을 벗고 실질적인 노후 안전망으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장기 가입'이 필수적임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줬다. 평균액 68만원이라는 숫자에 가려진 '20년 가입자 평균 112만원'이라는 수치는 국민연금이 성실 납부자에게는 확실한 보상을 제공하고 있음을 증명한다.

 

국민연금은 단순한 세금이 아닌 미래를 위한 투자의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특히 가입 기간을 늘리기 위한 크레딧 제도나 추납 제도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연금 수령액을 높이는 '연금 재테크' 전략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연합뉴스)


추천 비추천
추천
0명
0%
비추천
0명
0%

총 0명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