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온신문 서유주 기자] 글로벌 팬데믹 영향으로 대면이 필수였던 공연예술계는 직격타를 맞았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코로나19로 인한 대중음악 공연관련 업계 피해 영향 사례조사 연구’에 따르면 공연 기획업 및 공연장의 2020년도 매출은 전년의 18% 수준으로 하락했다. 특히 엔터테인먼트사의 매출은 전년의 34.4%, 하드웨어사는 21.3%로 드러나 공연 기획업 및 공연장의 매출 하락폭이 관련 업계 중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됐다.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침체된 공연산업계의 타개책으로 온라인 비대면 공연이 대안으로 등장했다. 거리두기를 하면서도 문화예술 공연을 향유할 수 있게 됐고, 누구나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참여할 수 있다는 것이 온라인 공연의 매력이다. 국내를 넘어서 해외의 공연도 방 안에서 감상할 수 있는 것도 메리트다. 하지만 온라인에서 유료로 공연을 관람하는 것에 대한 소비자의 심리적 장벽을 뛰어넘어야 한다. 영상, 음향 장비의 수준이 천차만별인 관객들에게 동일한 수준의 품질의 공연을 제공하기 위한 해결책도 강구해야 한다. 게다가 인디레이블을 기반으로 하는 공연예술가들은 자본력의 한계로 양질의 공연을 제공하기가 어려워 공연계의 양극화도 심화되는 추세다
[라온신문 김소민 기자] 그룹 방탄소년단이 아메리칸뮤직어워드에서 대상을 차지하고 ‘그레미 어워즈’에서는 2년 연속 노미네이트가 됐으며 대표곡 ‘버터’가 빌보드 메인 싱글차트 ‘핫100’에서 총 10차례 정상을 차지했던 2021년. 국내 인디씬의 뮤지션들도 해외에서 주목받는 순간이 있었다. 먼저 우리 전통 음악을 현대 음악과 크로스오버해 신선함을 자아내는 그룹들이 해외 무대에서 강세를 보였다. 국악을 결합한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 동양고주파는 지난 10월 포르투칼 포르투에서 열리는 '워멕스 2021'무대에 올랐다. 워멕스는 독일 베를린에서 출발해 매년 유럽의 주요 도시를 순회하며 열리는 월드뮤직 마켓으로 무대를 꾸미는 팀을 심사위원회의 깐깐한 심사를 거쳐 선정된다. 동양고주파는 이러한 무대를 국내 밴드로서 최초로 2년 연속 꾸미는 영광을 안았다. ‘코리안 샤머닉 펑크 록’을 선보이는 악단광칠은 이달 미국 시애틀의 공영 라디오 방송 KEXP에 출연했다. KEXP는 시가레츠 애프터 섹스, 휘트니 같은 미국의 유명 밴드들이 거쳐간 유서 깊은 음악 방송으로 한국 밴드 중에서는 '세이수미'가 출연한 적 있다. 20만 명 이상의 글로벌 청취자를 보유한 KEXP에 출연한 ‘
[라온신문 김혜련 기자] 2년 동안 이어진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해 전 세계가 무기력함에 빠져있다. 그래서일까 지난 2021년에는 인디씬에서 유독 위로와 안부를 묻는 노래들이 많이 발매됐다. 때로는 잔잔한 멜로디로 슬픈 마음에 공감해주기도 하고 에너지 넘치는 비트로 답답한 마음을 날려주기도 하며 많은 리스너를 위로했다. 인디 모던 록밴드 ‘9와 숫자들’의 새로운 앨범 ‘토털리 블루’는 희망을 찾기 위해 아이러니하게도 우울함을 담아냈다. 4년 동안 한 곡씩 채워온 ‘‘토털리 블루’는 2년 전에는 상상도 못 했던 시대적 비극을 마주하면서 ‘블루’를 전면에 내세워 우울 속에서 희망을 찾는 여정을 그렸다. 앨범의 수록곡들은 ‘9와 숫자들’만의 감성으로 완성돼 위로를 건넨다. 인디 팝 듀오 1415은 코로나 19로 너무 많이 변해버린 일상에 대한 감상을 담은 앨범을 선보였다. 싱글 ‘lost’는 모든 것이 바뀌어버린 일상에 대한 답답함과 돌아가고 싶은 그리움을 담은 곡으로 평범한 일상에 대한 소망을 담은 가사를 통해 현시대를 살고 있는 누구나 공감할 만한 메시지와 위로를 전달했다. 싱어송라이터 심규선은 독특한 설정을 가미한 앨범을 통해 팬들에게 치유의 시간을 선물했
[라온신문 김소민 기자] 2020년 창궐한 코로나 19로 인해 인디음악 업계는 초토화가 됐다. 2021년에는 장기화된 코로나 19로 인해 인디음악 업계는 여전히 숨통이 꽉 조인 채다. 다만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하기 위한 다양한 플랫폼이 등장했고 인디 음악씬에도 비대면 공연을 이따금 할 수 있게 됐다. 철저한 방역 계획과 백신의 등장으로 대면 공연도 이어졌다. 지난 6월에는 코로나 발생 이후 첫 대면 음악 페스티벌로 ‘뷰티풀 민트 라이프 2021’이 열렸다. 정부의 거리두기 방침에 따라 수용 가능 인원은 4000명으로 조정이 됐으며 임시 방역 센터를 마련해 체온 측정과 QR체크인 등에 전력을 기울여 코로나19 확진자 없이 페스티벌을 마무리됐다. 아울러 지난 11월에는 자라섬 재즈 페스티벌이 첫 대규모 야외 공연으로 진행됐다. 당시 정부의 ‘단계적 일상 회복’에 따라 ‘백신 패스’가 적용된 첫 공연으로 방역을 최우선으로 행사가 진행됐다. 공연장은 코로나19 백신 접종 완료가 확인되거나 PCR검사 음성 확인서를 제출한 인원만 입장할 수 있도록 했으며 자리 사이의 간격을 1m 이상으로 해 바이러스 확산을 최소화했다. 또 음식물 섭취를 할 수 있는 푸드존을 분리하는
[라온신문 안광일 기자] 하루가 다르게 추워지는 겨울, 매서운 바람에 따뜻한 바람이 불어오던 초여름이 간절하다. 12월 초 방영을 시작한 SBS의 ‘그 해 우리는’은 초여름을 닮은 청춘들의 성장 연애담을 담은 드라마로 특유의 따뜻하고 청량한 분위기로 시청자들을 사로잡고 있다. 드라마의 인기와 덩달아 회차를 거듭하면서 공개되는 드라마의 OST도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특히 지난 24일 방탄소년단의 뷔가 부른 ‘Christmas Tree’가 공개되면서 ‘그 해 우리는’의 모든 OST까지 주목받고 있다. 헤어진 연인이 고등학교 시절에 찍었던 다큐멘터리가 뒤늦게 인기를 얻어 강제소환되면서 벌어지는 역주행 로맨스다. 과거 고등학교 시절의 내용을 담은 드라마의 1·2화에는 초여름을 배경으로 배우 최우식, 김다미가 풋풋한 고등학생으로 완벽하게 분해 싱그러움을 연기했다. 여기에 첫 번째로 공개된 OST 10cm의 ‘서랍’은 어쿠스틱 장르의 음악으로 10cm의 나지막한 보컬이 어우러지면서 과거를 추억하는 듯한 감성을 자아냈다. 고등학교 시절 다큐멘터리 촬영을 한 것을 계기로 주인공은 연애를 시작하고 가슴 아픈 이별을 하지만 이별에 대한 정확한 이유에 대한 언급이 없던 채로
[라온신문 서유주 기자] 인디란 무엇인가. 이 질문에 대한 논의는 현재진행형이다. 메이저와 구별되는 독자적 유통망의 구축 여부를 놓고 판단하기도 하고 장르나 스타일, 뮤지션과 팬의 성향 등에 따라 분류하기도 한다. 여러 면에서 한국의 인디는 자본의 성격, 생산과 유통을 둘러싼 산업과 비즈니스 측면뿐 아니라 음악에 대한 취향과 감수성, 장르나 스타일, 심지어 정서까지 복합적으로 작동한다고 볼 수 있다.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인디냐 아니냐를 구분짓기 어려운 이유다. 인디 레이블들의 유통과 홍보, 마케팅 방식을 살펴보면 규모가 제법 크고 대중적 인지도를 확보한 레이블의 경우, 레이블 내부에서 모든 단계를 해내기도 한다. 인디 레이블은 메이저와는 독립적인 유통 시스템을 가지려 하는데, 이들의 경우 자사의 규모를 확장하는 방식으로 이를 해결한다. 비슷한 색깔을 공유하거나 서로 다른 장점을 가진 레이블들이 협력과 공조를 통해 유통이나 홍보의 한계를 해결하려 하기도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작은 인디 레이블의 경우 이러한 전 과정을 모두 소화해내기란 쉽지 않다. 음악산업이 변화하면서 인디씬에서도 다양한 시도가 이뤄졌다. 대중적 인기를 획득하면 음원 판매량이 높아지는 것은
[라온신문 안광일 기자] 크리스마스가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지난 크리스마스와 달리 어수선한 분위기에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집에서 보내야하지만 라온뉴스가 추천하는 영화와 함께라면 따뜻한 크리스마스를 보낼 수 있을 것이다. 크리스마스에 보면 좋을, 음악으로 가득 찬 영화 3편을 소개한다. ◆ 러브 액츄얼리 (Love Actually) 크리스마스를 대표하는 로맨틱 코미디를 뽑는다면 ‘러브 액츄얼리’가 아닐까. 지난 2003년 개봉한 ‘러브 액츄얼리’는 크리스마스를 앞둔 영국 런던을 배경으로 한 옴니버스 형식의 영화다.부부간의 사랑부터 영국 수상과 직원의 사랑, 소설가와 가정부의 사랑, 자신의 친구의 아내를 사랑하는 남자의 짝사랑, 소년의 짝사랑 등 형태는 다르지만 마음만큼은 진심인 여덟 커플의 사연을 담았다. 특히 비틀스의 ‘All you need is love’를 비롯해 노라 존스의 ‘Turn me on’, 머라이어 캐리의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와 영화의 시그니처 OST인 ‘Christmas is all around’까지 다양한 영화 속 OST는 크리스마스 분위기를 더욱 고조시키며 대중들에게 겨울이 되면 꼭 들어야하는
[라온신문 서유주 기자] 밴드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기악합주단체를 뜻한다. 악기 편성에 따라 금관악기만으로 이뤄진 브라스밴드, 관악기만의 윈드밴드, 다양한 악기들로 편성된 재즈밴드 등으로 불린다. 재즈의 가장 중요한 특징이라 볼 수 있는 임프로비제이션(improvisation), 즉흥연주에서 나오는 창조성과 활력은 이러한 악기편성으로부터 나온다. 이미 완성된 원곡 그 자체의 해석으로 제한되고 정형화된 유럽음악과 달리 재즈는 즉흥성으로 표현되는 원곡의 외부를 통해 '지금 바로, 여기에서' 완성함으로써 다른 밴드에선 불가능한 창조성과 활력을 지닌다. 악기 편성과 배치 역시 완벽하게 조율된 유럽음악과는 다른 방식으로 이뤄진다. 재즈가 음악의 외부를 통해 음악의 내부를 이해하는 일종의 '음악적 사유'라면 재즈밴드는 그 음악적 사유의 실천형식이다. 문제는 레코딩 과정에서 재즈의 생명인 즉흥성이 사라지고 반복성과 동일성을 입게 된다는 점이다. 음악을 완성시키는 순간 음악적 외부는 사라지고 그 자체로 하나의 완전한 내부로 인식되는 것이다. 따라서 재즈밴드는 재즈라는 이름으로 불리기 시작한 1910년대부터 이미 레코딩에 대항하는 일종의 비제도적 사유와 실천형식으로 분화됐다.
[라온신문 김소민 기자] 사흘 앞으로 다가온 크리스마스, 매일 듣는 캐롤에 질렸다면 인디 뮤지션들이 선보인 인디 캐롤송을 추천한다. 국내 인디 뮤지션들이 선보이는 캐롤송을 통해 이번 크리스마스를 뻔하지 않고 따뜻하게 즐길 수 있길 바란다. ◆ 스웨덴세탁소 ‘Snowball (Feat. 바닐라 어쿠스틱)’ 스웨덴세탁소가 2018년 발매한 크리스마스 앨범 ‘Be Your Christmas’의 수록곡 ‘Snowball’은 바닐라어쿠스틱이 보컬로 참여한 곡이다. ‘Snowball oh snowball’처럼 반복되는 가사가 중독적인 ‘Snowball’은 멜로디 라인이 쉽고 귀여워 듣기 편안하다. ◆ 검정치마 ‘International Love Song’ 자신만의 독보적인 감성을 지닌 검정치마의 정규 2집 앨범 ‘Don't You Worry Baby (I'm Only Swimming)’의 수록곡인 ‘International Love Song’이다. 국제적인 사랑 노래라는 제목처럼 전 세계에서 통하는 달달하고 행복한 사랑의 감정을 담아 크리스마스 따뜻한 분위기를 낼 수 있다. ◆ 치스비치 (치즈, 스텔라장, 러비, 박문치) ‘JUST 4 U…’ 90년대 아이돌 비주얼을
[라온신문 김혜련 기자] 크리스마스 시즌에 가장 많이 듣는 캐롤은 단연코 머라이어 캐리의 ‘올 아이 원트 포 크리스마스 이즈 유(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일 것이다. 1994년 오리지널 캐롤 싱글로 발매됐던 곡이 '크리스마스 연금'이라는 우스개 소리까지 만들어 내고 있다. 실제로 머라이어 캐리의 ‘올 아이 원트 포 크리스마스 이즈 유(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는 크리스마스를 앞둔 이번 주 빌보드 메인 싱글 차트인 ‘핫 100’ 1위에 올랐다. 머라이어 캐리의 곡은 이번 1위를 통해 ‘핫 100’에서 통상 85번째 1위를 기록했다. 이밖에도 미국 음반·음원 판매량 조사회사 MRC 데이터에 따르면, 캐리의 '올 아이 원트 포 크리스마스 이스 유(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는 지난 10~16일, 단 7일 만에 미국에서 스트리밍 3760만 건, 라디오 방송 2610만 건, 다운로드 7400건을 기록했을 정도로 큰 사랑을 받고 있다. 이러한 크리스마스 연금곡으로는 왬(WHAM!)의 ‘라스트 크리스마스(Last Christmas)’와 앤디 윌리엄스(Andy Willi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