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도요타자동차가 올해 4∼9월 순이익이 작년 같은 기간 대비 7.0% 줄어든 1조7천734억엔(약 16조7천억원)으로 집계됐다고 5일 발표했다.
교도통신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 등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 관세 조치와 엔화 강세 영향 등으로 이 기간 순이익은 2년 연속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18.6% 감소한 2조56억엔(약 18조9천억원)으로 나타났다. 도요타는 미국 관세 조치로 영업이익이 9천억엔(약 8조5천억원) 하락했다고 분석했다.
올해 4∼9월 매출액은 작년 동기보다 5.8% 증가한 24조6천307억엔(약 232조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판매량도 작년보다 5% 늘어난 526만 대로 최고 기록을 갈아치웠다.
도요타는 2025회계연도(2025년 4월∼2026년 3월) 순이익 전망치는 기존 2조6천600억엔(약 25조원)에서 2조9천300억엔(약 27조6천억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이 전망대로라면 연간 순이익은 전년도 대비 39% 감소한다.
도요타는 2025회계연도 매출액 전망치는 기존보다 5천억엔(약 4조7천억원) 많은 49조엔(약 462조원), 영업이익 전망치는 2천억엔(약 1조9천억원) 상향 조정한 3조4천억엔(약 32조원)으로 각각 제시했다.
이 기간 목표 판매량은 기존 1천40만 대에서 1천50만 대로 10만 대 늘려 잡았다.
도요타는 트럼프 행정부 관세 정책으로 2025회계연도 영업이익이 1조4천500억엔(약 13조7천억원)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기존 전망치보다 500억엔(약 4천700억원) 늘어난 것이다.
닛케이는 도요타의 순이익 전망치 상향 조정과 관련해 "미국 자동차 관세가 부담으로 작용했지만, 세계에서 자동차 판매가 호조를 보인 것이 영향을 미쳤다"고 해설했다.
도요타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판매량 증가와 차종 구성 변화, 자동차 기능 향상에 따른 가격 인상이 이익 증가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곤 겐타 도요타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이날 설명회에서 미국 내 가격 설정과 관련해 "차종별로 경쟁 상황을 고려해 주의 깊게 대응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네덜란드 반도체 업체 넥스페리아의 제품 공급 차질에 대해서는 당장은 영향이 없지만 상황을 주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 자동차 업체 중에는 혼다가 반도체 수급 문제로 멕시코 공장 가동을 중단했고, 닛산자동차도 가나가와현 옷파마 공장과 후쿠오카현 자회사 공장 생산량을 오는 10일부터 1주일간 줄이기로 했다.(연합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