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베이비붐 세대(1955∼1974년생 약 800만명) 10명 중 7명은 지역의 중소기업에 취업 기회가 있으면 귀촌할 의향이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귀촌을 희망하는 수도권 베이비부머들은 근무 지역으로 충청권을, 직무로는 관리·사무직을, 월급은 200만원 이상 250만원 미만을 가장 많이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9월 수도권 베이비부머 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73%는 비수도권 중소기업에서 일할 수 있을 경우 귀촌이 가능하다고 답했다고 5일 밝혔다.
남성은 귀촌 의향이 있다는 비율이 79.9%로 여성(66.9%)보다 높았다.
응답자들은 귀촌을 희망하는 이유로 건강한 생활 유지(24.6%), 여유로운 생활·휴식(22.9%), 자연 친화적 환경(20.7%), 주거비·생활비 절감(15.6%) 등을 꼽았다.
귀촌할 의향이 없는 이유로는 의료·교육·문화 등 생활 인프라 부족(27.8%), 도시 생활에 대한 익숙함(17.0%), 교통 및 접근성 불편(15.2%) 등이 지목됐다.
귀촌 희망 지역은 충청권이 32.9%로 가장 인기 있었다. 이어 강원권(27.4%), 호남권(15.9%), 영남권(10.4%) 등이었다.
선호 직무는 관리·사무직(30.7%), 서비스·판매직(20.7%), 농림·어업(15.9%), 생산·제조직(14.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근무 형태는 시간제가 47.7%, 전일제가 9.6%였고 둘 다 가능하다는 응답은 42.7%였다.
희망하는 최소 월 임금 수준은 200만원 이상 250만원 미만(32.6%), 150만원 이상 200만원 미만(30.7%), 250만원 이상 300만원 미만(26.8%) 등의 순이었고 평균은 227만원이었다.
앞서 한경협은 지난달 23일 베이비부머-지역 중소도시-지역 중소기업 '3자 연합' 모델을 제안한 바 있다. 국가적으로 베이비부머의 지역 중소기업 취업 지원을 통해 베이비부머 노후 보장, 지역 인력난 해소, 지역경제 활성화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한국 사회가 직면한 복합 문제를 해결하자는 구상이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의 79%는 이런 모델이 실현될 경우 귀촌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이는 단순히 지역 중소기업 취업 기회가 있을 경우의 의향보다 높은 비율로, 3자 연합 모델이 귀촌을 촉진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한경협은 해석했다.
3자 연합 모델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 과제로는 임대주택 등 안정적 주거시설 제공(22.6%)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지역 중소기업 및 안정된 일자리 제공(18.6%), 지역의료·복지 서비스 강화(12.0%) 등의 순이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수도권 집중 현상과 내수 위축으로 지역경제의 어려움이 심화하고 있다"며 "은퇴를 앞둔 수도권 베이비붐 세대의 고향을 중심으로 한 귀촌과 지역 내 재취업을 유도한다면 수도권 집중 완화는 물론 지역경제와 내수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연합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