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 美 EA-37B와 같은 전자전 특수 임무기 개조 사업 도전장

LIG넥스원과 컨소시엄 구성...한국형 전자전기 체계 개발 사업 참여
대한항공 기체 개조 및 제작...LIG넥스원은 전자전 장비 개발

 

대한항공이 대한민국 공군의 전자전기(Block-I) 체계개발 사업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대한항공은 LIG넥스원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공군의 전자기 스펙트럼(EMS) 전력 확보를 위한 ‘전자전기 체계개발 사업’에 참여한다고 21일 밝혔다.


전자전기 체계개발 사업은 주변국의 위협 신호를 수집·분석하고 전시에 전자공격(jamming)을 통해 적의 방공망과 무선지휘통신체계를 마비·교란하는 대형 특수항공기를 개발하는 사업이다. 전자전기는 적 항공기와 지상 레이더 등 전자장비를 무력화시키고 통신체계까지 마비시킬 수 있어 현대 전장에 필수 장비로 꼽힌다.


이번 사업은 정부가 1조7775억원을 투자하고 국내 업체가 연구·개발하는 형태로 추진된다. 


대한항공과 LIG넥스원 컨소시엄이 최종 선정되면 대한항공이 체계통합 및 기체 개조·제작을 맡고, LIG넥스원이 체계개발 및 전자전 장비 개발·탑재를 담당하게 된다.


이번 사업은 외국산 중형 민항기를 개조해 전자기전 임무장비를 탑재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미국 공군은 차세대 전기전자 EA-37B는 민항기(걸프스트림 G550)를 개조해 사용하고 있다.


대한항공과 LIG넥스원이 전자전기 개발이 가능한 국내 유일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는 만큼 사업자로 선정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대한항공은 앞서 P-3C 해상초계기 성능개량, 백두 1차 사업 등 유사한 사업을 수행하며 민간항공기를 군용화 한 후 항공기 안정성을 확인하는 ‘비행안전 적합 인증(감항인증)’을 확보한 바 있다. 또 공중급유기와 대통령 전용기의 운영 및 정비를 지원하며 민항기 파생형 특수항공기에 대한 풍부한 경험도 축적된 상태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이번 전자전기 사업은 국내 최초이자 세계적으로도 손꼽히는 도전”이라며 “대한항공이 지난 50여 년간 축적한 기술력과 인프라로 우리 군의 첨단 전력 확보에 앞장서고, 나아가 대한민국 방산 산업의 글로벌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추천 비추천
추천
0명
0%
비추천
0명
0%

총 0명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