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의 하반기 가계대출 증가 목표가 기존의 절반 수준으로 대폭 줄어들 전망이다. 신용대출, 주택담보대출 등 주요 가계대출의 ‘관리 고삐’가 더욱 조여지면서 실수요자들의 체감 대출문턱 역시 한층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은 최근 금융당국에 하반기 가계대출 총량 관리 목표치를 제출했다. 지난 6월 27일 발표된 정부 ‘가계부채 관리 방안’ 취지에 따라 각 은행은 올해 초 연간 대출 증가액 계획의 절반 수준까지 목표를 낮춘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5대 은행의 2025년 연간 가계대출 증가 목표(정책대출 제외)는 약 14조 5000억원이었고, 이 가운데 하반기 목표치는 약 7조 2000억원으로 잡혀 있었다. 하지만 이번에 제출된 하반기 목표는 3조 6000억원 수준으로 확 줄었다. 이는 기존 하반기 계획의 절반, 연초 대비로도 크게 낮아진 규모다. 아직 은행별로 세부 목표는 금융당국과 조율 중이지만, 업계에서는 당국과 은행권의 강도 높은 가계대출 총량 관리 기조가 하반기에도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같은 움직임은 대출 수요자들에게는 곧바로 ‘대출 문턱’ 상승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은행들
KB국민은행은 KB스타뱅킹 내 전자문서 서비스의 누적 가입자가 1000만명을 넘어섰다고 21일 밝혔다. 전자문서 서비스는 금융과 행정, 공공기관 등에서 우편으로 받았던 중요 문서를 KB스타뱅킹에서 전자문서 형태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KB국민은행은 지난 2022년 금융회사 최초로 전자문서 서비스를 선보인 이후 국세청, 국민연금공단, 한국주택금융공사 등 주요 공공기관의 연계를 확대해 왔다. 또 열람방식 간소화, 본인인증 절차 개선 등 서비스 고도화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왔다. 특히 21일부터는 기존 ‘KB국민인증서’ 외에도 공동인증서와 금융인증서로 전자문서 열람이 가능함에 따라 고객들이 보다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앞으로도 KB스타뱅킹을 통해 고객의 일상에 가치를 더할 수 있는 다양한 생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KB국민은행 측은 전자문서 서비스 외에도 ’KB매일걷기’, ‘건강보험 QR 서비스’ 등 건강 테마 기반의 생활밀착형 서비스를 통해 고객에게 실생활에 유용한 디지털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고 전했다.
보험업계에서 법인보험대리점(GA)의 설계사 정착지원금 지급 경쟁이 최근 더욱 치열해지며 시장 질서 혼탁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지나친 설계사 영입 경쟁이 소비자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보고, 정착지원금 현황의 상시 감시와 함께 부당승환에 대한 무관용 원칙의 강력 제재를 예고했다. 21일 금감원이 발표한 ‘GA업계의 설계사 정착지원금 지급 현황(잠정)’에 따르면 올해 1분기 GA업계가 지급한 설계사 정착지원금은 총 1003억원으로 집계돼 직전 분기(838억원) 대비 19.7%(165억원) 급증했다. 특히 500명 이상 설계사를 두고 있는 대형 GA의 지급액은 805억원에서 980억원으로 175억원 늘어나며 전체 증가폭을 주도했다. 이는 2024년 3분기부터 시작된 분기별 정보공시 도입 이후 지난해 4분기 일시 감소했다가 올 들어 다시 뚜렷이 반등한 규모다. 정착지원금은 타사 설계사 영입을 위한 ‘스카우트 비용’으로 이직 시 받지 못한 수수료 보전 등의 성격이 있지만, 과도한 지급경쟁이 실적 압박을 부추기며 부당승환(보험 갈아타기), 특별이익 제공, 허위·가공계약 등 불건전 관행을 양산하는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금감원은 2023년 6월부터
신한은행이 창립 43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출시한 ‘1982 전설의 적금’을 추가 판매한다. 신한은행은 21일부터 ‘1982 전설의 적금’을 최종 10만좌 한도로 판매한다고 전했다. 지난 7월 1일 선보인 이 적금은 출시 4일 만에 10만좌 한도가 완판됐다. 신한은행은 7월 7일부터 다시 10만좌 한도로 추가 판매한 결과 10일 만에 또다시 한도가 소진됐다. 이 적금은 매월 최대 30만원까지 입금할 수 있는 1년 만기 자유적금이다. 개인 및 개인사업자 고객 누구나 가입할 수 있으며, 기본 이자율 연 3.0%에 우대 이자율 최대 연 4.7%포인트를 더해 최고 연 7.7%의 금리가 적용된다. 우대금리는 신한카드 및 ‘쏠야구’ 이용 고객을 대상으로 ▲신한카드(신용) 신규 조건 및 3개월 이상 결제 실적 충족 시 연 4.2% 또는 신한카드(신용/체크) 6개월 이상 결제 실적 충족 시 연 3.5% ▲신한 SOL뱅크 내 디지털 야구 플랫폼 ‘쏠야구’ 응원 팀 설정 시 연 0.5% 등이다. 신한은행은 상품 출시와 함께 같은 해(1982년) 출범한 KBO 리그를 함께 기념하기 위해 총상금 1억 9820만원(1982년) 상당 연계 이벤트도 진행하고 있다. 이벤트는 1982 전
우리카드는 친환경 에너지 기업 E1과 업무 제휴를 맺고 ‘E1 우리카드’를 출시했다고 21일 밝혔다. E1 우리카드는 전월 실적에 따라 E1 LPG·전기·수소 충전 금액의 10%(최대 2만원) 할인을 제공한다. 또 카페, 편의점 업종에서도 10% 할인(최대 5천원)을 받을 수 있다. 발급과 동시에 E1 오렌지 멤버십에 자동으로 가입돼 이용 금액에 따라 오렌지 포인트가 자동 적립된다. 우리카드 관계자는 “E1 우리카드는 많은 친환경차 운전자들이 할인과 포인트 적립 혜택을 한 번에 받을 수 있는 편리한 카드"라고 전했다.
LG전자는 한국에너지공단과 함께 에어컨 에너지 절약 캠페인 'ThinQ 26℃ 챌린지'를 진행한다고 21일 전했다. ThinQ 26℃ 챌린지는 고객들이 에어컨 희망 온도를 여름철 적정 냉방 온도인 26도로 설정하도록 장려해 일상 속에서 쉽고 효과적으로 에너지 절약을 실천할 수 있게 하는 캠페인이다. 지난해 처음 시작된 이 캠페인은 5만명 이상이 참여해 약 105만 킬로와트시(KWh)의 에너지 절감 효과를 기록한 바 있다. 이는 도시지역의 4인 가구 월평균 전기 사용량인 307킬로와트시를 기준으로 약 3400 가구가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이다. 참여를 원하는 고객은 LG 씽큐 앱에 LG 휘센 에어컨을 등록한 뒤 ThinQ 26℃ 챌린지를 신청하고, 캠페인 기간 동안 에어컨 희망 온도를 26도 이상으로 최소 10시간 사용하면 된다. 캠페인 기간은 이달 15일부터 9월 30일까지다. LG전자와 한국에너지공단은 미션을 완료한 참여자를 추첨해 LG 그램 노트북, LG 퓨리케어 하이드로타워, LG 스탠바이미 등 다양한 상품을 제공한다.
KB국민은행이 중소 및 벤처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특별 출연한다. KB국미은행은 지난 18일 기술보증기금과 미래 성장산업 육성 및 성장기반 구축을 위한 '대한민국 진짜 성장’ 금융지원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1일 전했다. 협약에 따라 KB국민은행은 총 50억원(특별출연 40억원, 보증료 지원 10억원)을 출연한다. 이를 통해 약 1400억원 규모의 자금이 지원된다. 특별출연 협약보증 대상 기업은 3년간 보증비율 100%와 보증료율 0.2% 포인트 인하 혜택이 적용된 우대 보증서를 발급 받을 수 있다. 또 보증료지원 협약보증 대상기업은 3년간 매년 0.5%포인트 보증료를 지원받아 금융비용을 줄일 수 있다. 지원 대상은 미래전략산업과 에너지 전환 및 산업 고도화 분야다. 미래전략산업에는 ▲AI(인공지능) ▲반도체 ▲제약 ▲바이오 ▲디지털헬스케어 ▲방산 기업 등이 해당되며, 에너지 전환 및 산업 고도화 분야는 ▲신재생에너지 전환 ▲탄소중립 실천 ▲기후테크 기업 등이 포함된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이번 업무협약이 기업들의 연구개발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우리나라의 미래산업 경쟁력 확보에 기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현대자동차·기아는 ‘2025 레드 닷 어워드: 콘셉트 디자인’에서 최고상인 최우수상(Best of the Best) 2개와 본상(Winner) 9개를 받았다고 21일 전했다. 독일 노르트라인 베스트팔렌 디자인센터가 주관하는 레드 닷 어워드는 세계 3대 디자인상 중 하나로, 매년 제품 디자인, 브랜드·커뮤니케이션 디자인, 디자인 콘셉트 부문으로 나눠 우수 디자인을 선정한다. 이번에 발표된 콘셉트 부문에서 현대차·기아는 ▲City-Pod, Urban-Pod ▲PV5 위켄더 콘셉트(WKNDR Concept)로 자율주행(Autonomous)과 자동차 및 모터사이클(Cars and Motorcycles) 분야에서 각각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현대차의 ▲City-Pod, Urban-Pod은 지난해 CES와 ADEX 2023에서 각각 선보인 미래 물류 시스템이다. 스마트 시티를 구현하는데 중점을 둔 혁신적인 운송 솔루션으로 디지털 트윈, 자율주행 등 최첨단 기술을 적용해 실시간 추적이 가능하고, 산업현장뿐 아니라 고객의 일상에서도 다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기아의 PV5 위켄더 콘셉트는 자유로운 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을 제시하는 다목적 EV 밴이다. 또한 현대차 나노 모빌리
하나은행은 지역신용보증재단에 300억원을 추가 특별 출연한다고 21일 밝혔다. 하나은행은 이를 통해 전국에 신용도가 낮거나 담보가 부족한 소상공인· 자영업자 및 영세한 소기업을 대상으로 3750억원 규모의 금융 지원을 실시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하나은행은 앞서 상반기 565억원(보증한도 9028억원)을 출연한 바 있다. 이호성 하나은행장은 “이번 특별출연이 소상공인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고, 침체된 지역사회 경제의 위기 극복과 지역 균형 성장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하나은행은 소상공인 사업장에 힘이 되고 실질적 보탬이 되는 지원 사업들을 통해 지역 상권 사장님들의 곁을 지키는 든든한 금융 파트너로서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하나은행 측은 소상공인 금융 특화 브랜드인 ‘하나 더 소호(HANA THE SOHO)’를 통해 소상공인 대상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 소상공인들의 창업, 성장, 폐업 단계별 상권분석, 금융·경영지원 등의 맞춤형 컨설팅도 제공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신한은행이 우리 동네 숨겨둔 맛집 소개 이벤트를 진행한다. 신한은행 21일부터 시작되는 소비쿠폰 발급에 맞춰 신한 SOL뱅크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하기’ 페이지를 신설하고 ‘소상공인 응원하기’ 이벤트를 실시한다고 20일 전했다. 21일부터 9월 12일까지 진행되는 이번 이벤트는 신한 SOL뱅크 내 ‘소상공인 응원하기’ 페이지에서 우리 동네 숨겨둔 맛집 등 응원하고 싶은 가게에 대한 ‘응원 메시지’를 작성하면 자동 응모된다. 신한은행은 참여 고객 중 선착순 2000명에게 1000 마이신한포인트를 제공한다. 또 추첨을 통해 ▲100만 마이신한포인트(1명) ▲50만 마이신한포인트(2명) ▲10만 마이신한포인트(10명)를 증정한다. 마이신한포인트는 소비 쿠폰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신한은행은 이와 함께 신한 SOL뱅크 내 ‘우리동네 가게구경’ 서비스도 개편했다. 신한은행과 거래하는 소상공인은 누구나 무료로 가게 홍보를 할 수 있는 채널로, 신한 SOL뱅크를 이용하는 고객은 집·직장 등 위치 기반 가게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신한은행은 디지털 플랫폼 기반 고객 참여형 사회 캠페인을 확대하고, 생활밀착형 금융 서비스를 통해 고객과 지역사회의 연결성을 더욱 강화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