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배터리 화재' 정부 재생에너지 확대 계획 '변수'되나

탄소감축 위해 재생에너지 대폭 늘릴 계획…'간헐성' 보완할 ESS 구축 뒤따라야
태양광·풍력 주민 수용성 이미 낮은데…'화재 위험성' 해소 관건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발생한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는 재생에너지 확대를 꾀하는 정부에 적잖은 숙제를 안길 것으로 보인다.

 

28일 정부 등에 따르면 26일 국정자원 대전 본원 전산실 화재는 무정전·전원장치(UPS)용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발생했다.

 

이번 화재는 완전히 진화되는 데까지 22시간이나 걸렸다.

 

소방당국은 "현재 리튬이온 배터리를 정확하게 진화할 수 있는 방법은 다량의 물을 뿌리거나 수조에 담가 냉각시키는 것뿐"이라며 진화가 쉽지 않았다고 밝혔다.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위해 재생에너지 확대를 추진하는 정부는 '초대용량 배터리'라고 할 수 있는 에너지저장장치(ESS)도 대폭 늘릴 계획이다. 날씨에 따라 전력생산량이 들쑥날쑥하는 '간헐성'이라는 재생에너지 단점을 극복할 수단이기 때문이다.

 

현재 ESS에는 대체로 리튬이온 배터리가 사용된다.

 

정부는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에서 2038년까지 약 23GW(기가와트) 규모 장주기 ESS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2029년까지 2.22GW 규모 ESS를 설치할 계획이다.

 

특히 앞으로 ESS 설치 속도가 빨라질 전망이다. 정부가 재생에너지 설치 목표를 올려잡을 방침이기 때문이다.

 

정부는 이미 국회에 올해 하반기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2035 NDC)와 제6차 신재생에너지기본계획을 수립하면서 재생에너지 설비용량 목표치를 높이겠다고 보고했다.

 

현행 11차 전기본상 2030년 재생에너지 설비용량 목표는 78GW이다. 

 

그런데 최근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2035 NDC) 수립을 위한 토론회에서 환경부가 2030년 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이 100GW는 돼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2035년 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은 '최소 130GW'에서 '최대 160GW 이상'으로 늘려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재생에너지 간헐성을 보완할 방안으로 'ESS 등 유연성 자원 확대'를 제시했다.

 

올해 5월 고려대 연구진은 2030 NDC를 확장, 2036년까지 전력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44.4% 감축하는 상황을 가정하면 풍력과 태양광 발전 용량을 각각 약 64.7GW와 72.3GW 등 약 137GW로 늘려야 하며 변동성이 큰 재생에너지를 안정적으로 수용하기 위해서는 ESS 용량을 2036년까지 30GW로 현재(2023년 4.4GW)보다 6배 넘게 늘려야 한다고 했다.

 

실제 한국 정부는 작년 아제르바이잔에서 열린 제29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9)에서 전 세계 ESS 용량을 2030년까지 2022년(250GW)보다 6배 확대된 1천500GW로 늘린다는 내용의 '에너지 저장 및 전력망 서약'에 지지를 보내기도 했다.

 

문제는 이번 국정자원 화재로 ESS 주민 수용성이 크게 낮아질 수 있다는 점이다.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사업은 이미 설비 설치·운영 과정에서 빛 반사, 저주파 소음, 그늘짐(음영), 토양·수질 오염, 철새 등의 서식지와 경관 훼손으로 주민 수용성이 낮은데 국정자원 화재로 ESS 화재 위험성이 재부각되면서 수용성이 더 낮아질 수 있다.

 

한국전기안전공사에 따르면 2017년부터 작년 6월까지 ESS 화재는 총 55건 발생했다.

 

또 배터리 화재는 2020년 292건, 2021년 319건, 2022년 345건, 2023년 359건, 2024년 543건 발생했으며 올해는 상반기에 296건이 났다.(연합뉴스)


추천 비추천
추천
0명
0%
비추천
0명
0%

총 0명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