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상수배 걸린 홍콩 민주활동가들, 영국·호주서 망명 허가

"홍콩의 인권침해, 민주주의 약화 인정"…홍콩, 양국 총영사 초치 항의

 

홍콩 정부가 현상수배를 내건 민주화 운동가들이 영국과 호주에서 최근 잇따라 망명 허가를 받았다. 이에 홍콩 당국은 양국 총영사를 초치해 항의했다.

 

19일 로이터와 AFP통신 등에 따르면 홍콩국가보안법 위반 혐의의 최연소 수감자였던 토니 청(鍾翰林·24)이 영국 정부로부터 지난 17일(현지시간) 망명 신청을 승인받았다.

 

홍콩 독립을 지지하는 학생단체인 '학생동원'(學生動源)의 대표로 활동하던 토니 청은 2020년 국가분열 및 자금세탁 등 혐의로 홍콩 당국에 체포돼 이듬해 43개월 형을 선고받고 복역하다 2023년 석방됐다.

 

그는 그해 말 영국으로 도피해 망명 신청했으며, 이번에 난민 지위를 인정받았다. 5년간의 거주 허가를 받은 그는 이후 영주권 신청 자격을 받게 된다.

 

토니 청은 자신의 인스타그램 계정을 통해 "박해받을 두려움에 대한 충분한 근거가 있으며, 이에 따라 귀국할 수 없다는 점을 인정한다"는 내용이 적힌 영국 정부의 서신을 공개했다.

 

토니 청에 앞서 테드 후이(許智峯·43) 전 홍콩 입법회(의회) 의원도 지난 15일(현지시간) 호주 정부로부터 망명을 허가받았다.

 

홍콩을 떠난 지 4년이 넘은 그는 이번 허가에 대해 "호주 정부가 실제로 (홍콩에서) 인권 침해가 발생하고, 민주주의와 자유가 약화했음을 인정한 것"이라면서 "시위했다고 박해받은 나 같은 사람들에 대한 망명 허가가 정당하다는 것이 인정됐다"고 밝혔다.

 

불법 집회 선동 등 9가지 혐의로 기소돼 투옥될 위기에 처했던 후이 전 의원은 2020년 말 덴마크 국회의원들의 초청으로 기후 문제 관련 공식 회의에 참석한다는 명분으로 법원에서 출국을 허가받은 뒤 홍콩을 떠났다. 이후 영국 런던을 거쳐 호주에 정착했다.

 

 

테드 후이는 2023년 7월, 토니 청은 2024년 12월에 각각 홍콩 당국에 의해 현상수배됐다.

 

후이 전 의원은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언급하면서 이슈로 부각된 반중 인사이자 홍콩 빈과일보(2021년 폐간) 전 사주인 지미 라이의 지지를 촉구하는 활동도 하고 있다.

 

후이 전 의원은 "지미 라이는 홍콩 저항의 상징적인 인물"이라면서 "그가 홍콩을 떠날 수 있었음에도 남아있기로 결정한 것은 매우 숭고한 일이었다"고 강조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수년간 구금 상태인 그에 대해 "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을지 볼 것"이라며 "그를 구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미 라이의 국가보안법 혐의 재판 최종 변론이 전날 시작됐으며, 아직 선고 기일은 확정되지 않았다.

 

잇단 망명 허가에 홍콩 당국은 성명을 내고 영국과 호주의 총영사를 초치해 항의했다고 밝혔다.

 

성명에서 "범죄자들을 지켜주는 호주와 영국의 행위는 법치 정신에 완전히 위배되며, (중국과의) 관계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중국 외교부도 전날 정례 브리핑을 통해 홍콩 문제에 대한 간섭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2019년 수개월간 대규모 민주화 시위가 이어진 홍콩은 이듬해부터 엄격한 국가보안법을 시행했다. 이후 해외에서 체류 중인 인사들에게는 현상금을 내걸고 통제와 감시를 강화해 서방에서 비판받고 있다.(연합뉴스)


추천 비추천
추천
0명
0%
비추천
0명
0%

총 0명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