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억 원 넘는 예금계좌 10만개 돌파…투자 대신 예금에 ‘뭉칫돈’

 

10억 원을 초과하는 고액 예금계좌가 사상 처음 10만 개를 넘어섰다. 전체 잔액도 800조 원을 훌쩍 넘기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금리 추가 하락을 앞두고 기업들이 투자 대신 예금에 자금을 쌓으면서 나타난 현상으로 분석된다.

 

4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은행 저축성예금 중 잔액이 10억 원을 초과하는 계좌 수는 10만 좌로 집계됐다. 이는 2023년 6월 말 9만 7000좌에서 3000좌가 늘어난 수치다.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2년 이후 처음으로 10만 좌를 돌파했다. 불과 2021년 말 8만 9000좌였던 고액 예금 계좌는 2022년 6월 말 9만 4000좌, 2023년 말까지 9만 5000좌로 정체를 보이다 지난해부터 다시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다.

 

10억 원 초과 고액 예금의 전체 잔액도 크게 늘었다. 지난해 말 기준 해당 계좌들의 잔액은 815조 8100억 원으로, 6개월 전(781조 2320억 원)보다 34조 5780억 원(4.4%) 증가했다. 잔액이 800조 원을 돌파한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

 

고액 예금 계좌의 예금주는 대부분 법인이다. 본격적인 금리 인하 사이클 진입을 앞두고 시장금리 추가 하락을 예상한 기업들이 투자 대신 여윳돈을 은행에 맡긴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로 최근 기업들은 대내외 불확실성, 경기 둔화 우려, 투자처 부족 등으로 인해 현금을 예금 형태로 쌓아두는 경향이 뚜렷하다.

 

특히 고액 예금은 일반 저축예금보다는 예치 기간이 정해진 정기예금에 집중되는 모습이다.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정기예금에 자금을 넣어두려는 움직임이 두드러진다. 고금리 기조가 이어지던 시기에는 예금으로 자금이 몰렸지만, 최근에는 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지면서 ‘막차’를 타려는 법인과 자산가들의 예금 쏠림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

 

한국은행은 매년 반기별로 예금 규모별 계좌 수와 금액을 집계해 발표하고 있다. 이번 통계는 2024년 말 기준으로 집계된 수치다. 전문가들은 “기업들이 투자 대신 예금을 선택하는 것은 경기 불확실성에 대한 방어적 선택”이라며 “향후 금리 인하가 본격화될 경우 고액 예금의 증가세가 둔화될 수도 있다”라고 내다봤다.

 

고액 예금 계좌의 증가와 잔액 급증은 자금이 실물경제로 흘러가지 않고 은행에 머무르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기업 투자 위축, 경기 둔화와 맞물려 경제 전반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추천 비추천
추천
0명
0%
비추천
0명
0%

총 0명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