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은행권의 대출 연체율이 6년 3개월 만에 최고치로 치솟았다.
특히 중소기업과 개인사업자 대출의 연체율이 빠르게 상승하면서, 경기 둔화와 고금리의 그림자가 실물경제 전반으로 번지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금융감독원이 25일 발표한 ‘2025년 2월 말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 현황’에 따르면 2월 말 기준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0.58%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0.53%)보다 0.05%포인트 상승한 수치이자, 2018년 11월(0.60%) 이후 6년 3개월 만의 최고치다.
특히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은 0.84%로 전월보다 0.07%포인트 올랐고, 중소법인 연체율은 0.90%,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은 0.76%로 각각 0.08%포인트, 0.06%포인트 상승했다.
대기업 대출 연체율도 0.10%로 전월 대비 0.05%포인트 올랐으나, 중소기업과 개인사업자 부문의 상승폭이 훨씬 두드러졌다.
2월 중 신규 연체 발생액은 2조 9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3000억원 줄었고, 연체채권 정리 규모는 1조 8000억원으로 8000억원 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체율은 오히려 상승했다. 이는 신규 연체 감소와 연체채권 정리 확대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체가 해소되지 않고 누적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43%로 전월과 유사한 수준을 보였으나, 신용대출 등 주택담보대출 외 부문의 연체율은 0.89%로 0.05%포인트 상승했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29%로 안정세를 유지했다.
이번 연체율 상승은 고금리와 경기둔화, 내수 부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특히 자금 사정이 취약한 중소기업과 개인사업자들이 이자 부담을 견디지 못하고 연체로 내몰리고 있다는 점에서 실물경제 전반의 신용위험이 확대될 수 있다는 경고음이 커지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신용위험 확대 가능성에 대비해 은행의 손실흡수능력을 충분히 유지하도록 유도하고, 적극적인 연체·부실채권 매각 등 자산건전성 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은행권은 연체율 상승에 대응해 연체채권 매각 등 자산건전성 관리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동시에 고금리 장기화와 경기 침체가 맞물린 상황에서 단기적 실적 경쟁을 넘어 질적 성장과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이 한층 부각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연체율이 단기간에 급등하지는 않더라도, 중소기업과 자영업자 등 취약계층의 신용위험이 누적될 경우 금융시스템 전반의 안정성에 부담이 될 수 있다”라며 “선제적 지원과 구조조정, 정책금융의 역할 강화가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이번 연체율 상승세가 일시적 현상에 그칠지, 아니면 실물경제와 금융권 전반의 구조적 위험 신호로 확산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