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몸캠피싱 조직 역할은?
몸캠(Body cam)과 피싱(Phishing)의 합성어인 몸캠피싱이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몸캠피싱은 공격자가 사이버 공간에서 남성들의 성적 호기심을 자극해 음란 행위를 하게 한 뒤, 이를 촬영해 유포하겠다고 협박해 돈을 갈취하는 범죄를 일컫습니다. 본지는 올해 사이버 범죄 예방을 위해 비영리단체 김현걸 한국사이버보안협회장(現 디포렌식코리아 대표) 기고문을 연재합니다. [편집자 주] 지피지기면 백전백승(知彼知己 百戰百勝)이라는 속담이 있듯이 몸캠피싱 조직을 알고 미리 대비한다면 큰 피해 없이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몸캠피싱 조직을 역할에 따라 구분해 보자. △전체 범행을 계획 및 지시하는 역할(총책) △랜덤채팅이나 대화방에서 여성을 가장해 피해자를 화상채팅으로 유인하는 역할(유인책) △피해자와 음란 화상채팅을 하고 악성코드를 설치하게 하는 역할(채팅팀) △녹화된 영상과 주소록을 이용해 피해자를 협박하는 역할(공갈책) △자금의 입출금을 총괄하는 역할(자금책) △자금책의 지시에 따라 입출금한 자금을 전달하는 역할(인출책) △인출책으로부터 전달받은 자금을 총책에게 전달하는 역할(수거‧전달책)로 나뉜다. 대부분의 범죄자는 각자 하나 이상의 역할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