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그룹은 지난 5일 명동상인협의회와 함께 지역사회 소상공인을 위한 임직원 봉사활동을 실시했다고 6일 밝혔다. 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을 돕기 위해 진행한 이번 봉사활동은 그룹 임직원과 가족 100여 명이 참여했으며, ‘소상공인 맞춤형 행복상자 만들기’와 ‘거리 환경정비 줍깅’ 으로 진행됐다. 임직원과 가족들은 그룹 명동사옥 대강당에서 소상공인 사업장에 꼭 필요한 물품들로 구성된 맞춤형 행복상자를 만들어 명동 인근의 가게 100여 곳에 직접 전달했다. 행복상자는 명동상인협의회 소상공인 사업장 필수품들인 ▲종량제봉투 ▲고무장갑 ▲손세정제 ▲주방세제 등으로 구성됐다. 또 깨끗한 거리 상권을 만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그룹 임직원과 가족들 100여 명이 참여하여 ‘줍깅’도 함께 실시했다. 명동 일대 소상공인 사업장 근처 각종 쓰레기를 줍고 분리수거를 하며 거리 환경 정비를 했다. 이번 봉사활동에 참여한 한 직원은 “자녀와 함께 봉사활동에 참여해 더욱 뜻깊은 시간이 됐다”며 “앞으로도 지역사회를 위한 다양한 활동에 적극적으로 동참하여 지역사회와의 상생에 보탬이 되고 싶다”고 말했다.
삼성전자가 공급망 인권 관리 책임에 가장 우수하게 대처하는 기업으로 평가됐다. 삼성전자는 국제 비영리기구인 '노우더체인(KnowTheChain)'이 글로벌 주요 ICT 상장기업 45곳을 대상으로 공급망 인권 관리를 평가한 결과, 100점 만점에 61점을 받아 1위를 차지했다고 6일 전했다. 노우더체인은 영국 기업 인권 관련 NGO인 '기업 인권 리소스 센터(Business & Human Rights Resource Centre, BHRRC)' 산하의 평가 기구로, 글로벌 기업의 공급망 인권 관리와 강제 노동 수준을 격년 주기로 평가한다. 노우더체인은 ▲정책 및 거버넌스 ▲공급망 투명성 및 리스크 관리 ▲구매 관행 ▲채용 ▲근로자 권리 ▲모니터링 ▲개선 조치 등 7개 분야를 평가한다. 삼성전자 측은 글로벌 불확실한 경영 환경 속에서도 지속적인 공급망 인권 경영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인정받으며, 2022년 평가 대비 15점을 개선해 업계 최고 순위를 받았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 측은 '하위 공급망 실사 및 고충처리 절차 도입', '외국인 이주 근로자 인권 보호를 위한 실사 확대' 등을 개선해 정책 및 거버넌스와 채용, 공급망 투명성 및 리스크 관리 부문에
저출생 등의 영향으로 헌혈 참여자 수가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6일 대한적십자사의 2024년 혈액사업 주요통계와 통계청 혈액정보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총 헌혈 건수는 285만5천540건이다. 국내 헌혈 건수는 코로나19 기간이던 2020년(261만 건)과 2021년(260만 건) 급감했다가 2022년 265만 건, 2023년 278만 건 등으로 3년 연속 회복세다. 그러나 헌혈에 한 차례 이상 참여한 '실인원'을 보면 2022년 132만7천587명, 2023년 130만774명, 2024년 126만4천525명으로 2년 연속 줄었다. 지난해 헌혈 실인원은 코로나19로 헌혈이 급감한 2020년(128만1천773명), 2021년(127만2천178명)보다도 적어, 통계청에 관련 통계가 올라온 2005년 이후 최소치를 기록했다. 10년 전인 2014년(169만6천95명)과 비교하면 10년 새 43만1천570명(25.4%)이 줄었다. 현재 헌혈이 가능한 나이는 16세부터 69세까지인데, 작년의 경우 우리나라 헌혈가능인구 가운데 3.27%만 헌혈에 참여했다. 2014년엔 이 비율이 4.43%였다. 헌혈 실인원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음에도 1년에 2회 이상 헌혈한 사람들이
5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일방주의적 국정 운영에 반대하는 진보 진영 주도의 시위가 미국 전역에서 벌어졌다. 이날 민권 단체, 노동조합, 성소수자 권익 옹호 단체, 참전용사 단체 등을 망라하는 150여 개 민간 단체가 참여한 가운데, 미국 전역에서 1천200건 이상의 시위와 행진 등이 펼쳐졌다. 연방 공무원 대폭 감축 및 연방 정부 조직 축소·폐지, 보건 프로그램에 대한 예산 삭감, 대규모 관세 드라이브, 러시아에 대한 유화 기조 등 '트럼프표 정책'에 반대하는 이들의 목소리가 트럼프 2기 출범 2개월 반 만에 전국적으로 조직된 시위를 통해 분출된 양상이었다. '손을 떼라'는 의미인 '핸즈오프'(Hands Off)가 이번 전국 시위의 타이틀이었다. 워싱턴 DC의 상징물인 워싱턴기념탑(Washington Monument) 주변에는 트럼프 대통령과 트럼프의 신흥 최측근으로서 연방 정부 구조조정을 주도하고 있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에 대한 반대 구호가 울려 퍼졌다. 시위는 평화적으로 진행됐다. 참가자들은 북소리에 맞춰 박수를 치며 "트럼프와 머스크는 나가야 한다"는 등의 구호를 외쳤고, 그들이 든 패널 등 각종 선전 도구에는 "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세계 각국에 부과한 기본 관세 10%가 발효된 5일(현지시간) 통화해 세계 경제에 대한 우려를 공유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이날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세계 경제가 미국이 부과한 관세의 영향을 받는 가운데, 우리는 트럼프 대통령과의 지속적인 논의에서 우리의 입장을 긴밀히 조정하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마크롱 대통령은 "무역 전쟁은 누구에게도 이익이 되지 않는다"며 "세계의 큰 충격에 직면해 우리는 함께 단합하고 나아가며, 단호하게 우리 시민과 기업을 보호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영국 총리실도 "두 정상은 무역 전쟁이 누구에게도 이익이 되지 않는다는 데 동의했다"며 "어떤 것도 배제해서는 안 되며, 상황에 대한 최신 정보를 계속 업데이트하는 게 중요하다는 데 동의했다"고 밝혔다. 두 정상은 이날 통화에서 양국 군 수뇌부가 전날 우크라이나를 방문해 우크라이나 지원 방안을 논의한 것도 공유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우리는 우크라이나 국민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기적 지원에 대해 계속 고민하고 있다"며 "우선은 그들의 최전방 방어선인 군대를 지원하고, 이후엔
팝 음악계의 톱스타인 래퍼 에미넘(52)이 할아버지가 됐다고 미 CNN과 피플지 등이 4일(현지시간) 전했다. 에미넘의 딸 헤일리 제이드 매더스(29)는 이날 인스타그램에 "태어난 지 3주가 됐다"며 아기 사진을 올렸다. 사진 속 아기가 누워 있는 침대 위에는 '엘리엇 마셜 매클린톡'이란 이름과 함께 아기의 출생일로 짐작되는 '03.14.25'(2025년 3월 14일)란 글자가 적혀 있다. 에미넘의 본명은 마셜 브루스 매더스 3세로, 그의 딸이 자기 아들 이름에 아버지 이름을 따서 넣은 것이다. 에미넘이 전처 킴 스콧과의 사이에서 낳아 애지중지 아끼며 키운 딸로 유명한 헤일리 제이드는 지난해 5월 기업가인 에번 매클린톡과 결혼했다. 에미넘은 지난해 10월 공개한 신곡 '템퍼러리'(Temporary) 뮤직비디오에서 딸 헤일리 제이드의 어린 시절 모습을 담은 수많은 영상을 편집해 보여주며 팬들의 가슴을 뭉클하게 했다. 또 이 뮤직비디오의 마지막 장면에서 헤일리 제이드가 '할아버지'(Granpa)라고 적힌 티셔츠와 태아 초음파 사진을 건네고 에미넘이 이에 놀라는 장면이 등장해 그가 곧 할아버지가 될 것임을 암시했다. 음악 팬들은 '반항아' 이미지로 유명한 에미넘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측근인 일론 머스크의 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미 국방부의 군사용 위성 발사 계약을 수주할 예정이라고 로이터 통신이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로이터는 정부 조달 결정을 잘 아는 소식통 2명을 인용해 스페이스X가 보잉과 록히드마틴의 합작사 유나이티드 론치 얼라이언스(ULA)와 함께 수십억 달러(수조원) 규모의 국방부 로켓 발사 계약을 각각 수주하게 됐다고 전했다. 미 우주군은 두 회사에 2029년까지 약 50개의 로켓 발사 임무를 점진적으로 할당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우주군 프로젝트는 지구 주위를 도는 다양한 궤도 위성 발사를 포함하고 있으며, 가장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드는 임무로 분류된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미군의 군사 위성을 궤도로 쏘아올리는 일은 과거 오랫동안 ULA가 주도해 왔지만, 10여년 전부터 스페이스X가 재사용할 수 있는 로켓을 개발해 성능을 입증하면서 새로운 강자로 부상했다. 하지만 머스크가 트럼프 행정부의 연방 지출 삭감과 인력 감축을 주도하는 정부효율부(DOGE) 수장으로서 정부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만큼 스페이스X의 정부 계약 수주는 또다시 이해충돌 논란을 일으킬 것으로 전망된다.(연합뉴스)
세계 1, 2위 경제 대국인 미국과 중국이 서로 34%의 고율 관세를 주고받기식으로 예고함에 따라 트럼프발 무역전쟁이 전 세계에 미칠 파장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현지시간) 모든 교역대상국을 상대로 상호관세(기본관세 10% 포함)를 부과하기로 하면서 중국에 34%의 관세율을 적용한다고 발표하자 중국은 4일 34%라는 세율 그대로 미국에 '맞불' 관세를 발표했다. 중국은 여기에 더해 희토류에 대한 수출 통제 조치와 미국 군수기업 16곳에 대한 이중용도 물품(군수용으로도 민간용으로도 쓸 수 있는 물품) 수출 금지 등 미리 준비해 둔 듯한 '실탄'까지 사용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월 20일 집권 이후, 미국으로 유입되는 합성마약 펜타닐의 원료 출처가 중국이라고 지목하며 중국에 10%씩 2차례 관세를 올렸을 때만 해도 중국은 보복 조치를 취하긴 했지만 액화천연가스(LNG) 등 일부 품목에 국한하는 등 다소 수세적 대응을 했다. 그랬던 중국이 이번에는 비례적 맞불 관세는 물론 자신들이 전 세계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희토류 수출통제까지 꺼내 들며 '강공 모드'로 나선 것은 나름의 '승부수'로 읽힌다. 오는 5일부터 부과되는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에 맞서 중국이 보복관세를 발표하는 등 미국과 중국 간 무역 전쟁이 격화하면서 4일(현지시간) 뉴욕 증시에서 주요 대형 기술주의 주가가 또 큰 폭으로 하락했다. 애플과 엔비디아, 테슬라 등 주요 7개 대형 기술주는 이날 3%∼10%의 낙폭을 기록했고, 이들 기업의 시가총액은 전날 약 1조 달러에 이어 8천억 달러가 증발했다. 이날 시가총액 1위 애플 주가는 전날보다 7.29% 떨어진 188.38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전날 9.2% 급락한 데 이어 이틀간 17% 폭락했다. 주가는 지난해 5월 23일(종가 기준 186.25달러)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같은 해 6월 10일(192.47달러) 이후 10개월 만에 200달러선도 붕괴했다. 시가총액도 2천233억 달러 줄어든 2조8천290억 달러로 감소하며 3조 달러선이 무너졌다. 인공지능(AI) 대장주 엔비디아 주가도 전날 7.8% 하락한 데 이어 이날에도 7.36% 내린 94.31달러에 마감했다. 엔비디아 주가가 종가 기준 100달러 아래로 떨어진 것은 작년 8월 7일(98.89달러) 이후 8개월 만이다. 시총도 2조3천10억 달러로 1천890억 달러 쪼그라들었다. 테슬라 주가는 이날 10.
신한라이프는 지난 3일 시민들의 휴식공간을 가꾸고자 서울 청계광장 일대에서 서울시설공단과 함께 ‘청계아띠’ 봉사활동을 진행했다고 4일 밝혔다. 청계아띠는 ‘청계천을 지키는 아름다운 띠’라는 뜻으로 기업이나 단체가 참여해 청계천을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으로 조성하기 위한 활동이다. 신한라이프는 2023년 서울시설공단과 청계아띠 공동업무협약(MOU)을 체결한 이후 매년 환경 개선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이날 봉사활동에는 신한라이프 임직원 약 30여 명이 참여해 봄철을 맞아 청계천 일대의 거리 화분에 조팝나무, 감둥사초, 초설 등 5종의 식물 약 720본을 심으며 따뜻하고 아름다운 녹지공간을 조성했다. 신한라이프 관계자는 “시민들이 오가는 청계천 일대를 휴식 공간으로 가꾸기 위해 환경 개선 봉사활동에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있다”라며, “우리가 속한 지역사회의 환경뿐 아니라 미래세대가 건강하고 안전한 환경을 누릴 수 있도록 다양한 봉사활동을 펼쳐 나가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