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온신문 장슬기 기자] ㈜더원아트코리아(대표 최재학)가 주최·주관하고, 서울특별시와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후원하는 ‘2023 제4회 <ㅊㅊ-하다 페스티벌>’이 세종문화회관 S씨어터와 복합문화공간에무에서 개최된다고 17일 밝혔다.
<ㅊㅊ-하다 페스티벌>은 전통 전반을 다루며 시즌제 운영을 목표하고 있다. 제1회 무용을 시작으로 매 해마다 새로운 장르를 확장하며 △무용 △기악 △성악 △연희 4개의 전통 장르를 아우르는 축제로 거듭났다. 올해 2023년은 연희파트가 새롭게 론칭됐다.
축제 프로그램은 오는 20일(월) ‘복합문화공간에무’에서의 ‘개막/라운드테이블’을 첫 시작으로, 23일부터 26일까지 ‘세종문화회관 S씨어터’에서 4개 장르의 공연이 각각 펼쳐질 예정이다.
<ㅊㅊ-하다 페스티벌>은 젊은 전통 예술인들을 한 자리에 모아 ‘청춘들의 판’을 주도한다. 청년들에게 청하고, 청춘이 채우는 <ㅊㅊ-하다>라는 기획으로 시작됐으며, 이 시대를 끌어가는 젊은 청춘들의 무대를 한 자리에서 선보인다. 전통예술 작품을 ‘이어가다-넘어서다-벗어나다’로 구성하여, 보다 깊이있고 다양한 시선으로 작품들을 마주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가다’는 역사가 있는 작품을 그대로 내려받은 전통 공연, △‘넘어-서다’는 기존의 것을 전통 기반으로 재구성하는 공연, △‘벗어-나다’는 자신만의 개성으로 새로 시도하여 창작하는 공연들이 무대를 꾸민다.
개막/라운드테이블은 오는 20일(월) 15시 전석 무료로 진행되며, 작년 성악 참여팀인 ‘창작아티스트 오늘’이 개막무대를 꾸민다. ‘청년 예술가들이 말하는 예술 현장 이야기’라는 대주제로 △소속과 정통성, 탈장르의 결계와 그 고민에 대하여 △지원금을 통한 작품활동, 작품을 팔고 싶은 것인가 만들고 싶은 것인가? △전통예술계의 미래와 희망 △페스티벌 방향성 등에 대한 이야기를 나눌 예정이다.
첫 번째 파트 무용은 오는 23일(목) 19시 30분에 진행된다. 출연진은 △사회 | 변상아(무용 예술감독), △이어-가다ㅣ이시원(처용무), 정수민(구음검무) △넘어-서다ㅣ박소영(부유의 시간), 오정윤(해리) △벗어-나다ㅣ이지현(우리¹에 우리³), 이재아(넋)가 참여한다. 올해 무용 파트는 기획공연으로 소속이 있는 안무가 초청전으로 진행된다.
두 번째 파트 기악은 오는 24일(금) 19시 30분에 진행된다. 출연진은 △사회 | 천지윤(해금 연주자,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박사), △이어-가다ㅣ최유빈(한갑득류 거문고산조), 강병하(이생강류 대금산조) △넘어-서다ㅣ심성욱(경기산타령), Team P.S(비나리, 해금병창 - 황성가는 대목~방아타령) △벗어-나다ㅣ음악그룹 오롯(사이 BETWEEN), 세시도(바리, 광란)가 참여한다.
세 번째 파트 성악은 오는 25일(토) 17시 30분에 진행된다. △사회 | 이수인(성악 예술감독), △이어-가다ㅣ정은송(심청가 中 '행선전야 대목'), 김민지(정선아리랑, 노랫가락, 창부타령) △넘어-서다ㅣ악셀(A New Love), 구이임(십이난간, 탕탕) △벗어-나다ㅣ모꼬지(이판사판, 한몽, 난리굿), 또랑또랑(봄날이라네, 고요한 가)이 참여한다.
마지막으로 네 번째 파트 연희는 오는 26일(일) 17시 30분에 진행된다. △사회 | 소경진(연희창작그룹 놀플러스 대표), △이어-가다ㅣ손병호(고성오광대 제2과장 중 말뚝이춤), 정연실(금회북춤) △넘어-서다ㅣ새로(위로), 퍼커씽 연희듀오 구궁(짝두름) △벗어-나다ㅣ성희주(노라), 연희퍼포머그룹 처랏(W.A.C.A-We are Cheer art!)이 참여한다.
페스티벌 연출진으로는 총괄연출로 용혜정, 무용파트 예술감독 변상아, 기악파트 예술감독 신현석, 성악파트 예술감독 이수인, 연희파트 예술감독 전지환 참여했다.
연출진은 “아티스트와 축제를 준비하는 과정이 매 순간 놀라웠고, 청년들이 다양한 관점에서 한국전통음악의 미래에 대해 치열하게 고민한 만큼 빛나는 무대를 만들 것이라 믿는다”고 입을 모아 이야기했다.
보이지 않는 곳에서 각자가 그리는 미래를 위해 춤추고, 연주하고, 노래하고, 땀흘리는 청춘들을 한명 한명의 아티스트로서 존중하며 응원하는 ㅊㅊ-하다 페스티벌의 귀추가 주목된다.
한편 2023 제4회 <ㅊㅊ-하다 페스티벌>은 전석 3만원으로 세종문화회관 홈페이지와 인터파크, 현장에서 예매 가능하며, 자세한 정보는 (주)더원아트코리아를 통해 문의 가능하다.
즐거운 뉴스, 라온신문 RAO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