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미에서 북미로 향하는 육로 한복판에 놓인 열대우림 지역이 쓰레기와 오물로 몸살을 앓고 있다. 험난한 자연환경을 극복하지 못하고 숨진 이들의 시신까지 그대로 방치되면서 '환경 재앙'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 파나마 환경부는 남미 콜롬비아 북부 지역과 맞닿은 남부 국경 지대의 다리엔 갭에서 육로 통과자 1인당 평균 약 9㎏ 정도의 쓰레기를 배출하는 것으로 추정했다고 파나마 일간 라프렌사와 영국 일간 가디언이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는 지난해 기준 추산으로, 작년에는 하루 평균 1400명 정도가 다리엔 갭을 지나간 것으로 파나마 당국은 확인했다. 하루에 12.6t 이상의 쓰레기가 나온 셈이다. 서울 1인당 하루 폐기물(재활용·음식물 제외, 2020년 기준) 배출량이 약 0.3㎏인 것을 고려하면, 이보다 30배 많은 양이다. 팬데믹 이전까지만 해도 외부인이 거의 드물어 청정함을 유지했던 일대 강둑에는 요즈음 우기만 되면 음료수 캔, 찢어진 티셔츠, 플라스틱 식품 용기로 가득하다고 가디언은 현지 주민들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선박용 유류와 배설물까지 겹치면서 악취도 보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염된 강물을 식수로 쓰거나 물에서 목욕 또는 빨래 등을 하다 질병
14세 미만은 휴대전화 소유를 금지하고 16세 미만은 소셜미디어(SNS) 계정 개설을 금지하자는 온라인 청원이 이탈리아에서 큰 호응을 얻고 있다. 10일(현지시간) 세계 최대 청원 사이트 체인지닷오르그(change.org)에 올라온 '스마트폰과 SNS: 모든 기술에는 적절한 시기가 있다' 청원서엔 이탈리아 각계 저명인사가 서명했다. 교육 전문가 다니엘레 노바라, 심리치료사 알베르토 펠라이가 주도한 이 청원에는 영화감독 파올라 코르텔레시, 배우 알바 로르와처, 스테파노 아코르시, 루카 진가레티 등이 힘을 보탰다. 그뿐만 아니라 교육, 문화, 예술, 심리학 분야의 주요 인사들도 서명했다고 안사(ANSA) 통신은 전했다. 이 청원은 청소년을 스마트폰과 SNS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14세 미만은 휴대전화를 소유하지 못하도록 하고, 16세 미만 미성년자의 SNS 신규 계정 개설을 금지하자는 내용이다. 청원서에는 "스마트폰의 부정적인 영향은 스마트폰이 허용되지 않은 학교에서 학생들이 친구와 더 잘 어울리고 더 잘 학습한다는 사실로 증명된다"며 "미성년자의 뇌는 SNS와 비디오게임의 도파민 작용에 매우 취약하다"고 지적했다. 청원을 주도한 노바라는 이날 현지 일간지 라레푸
애플이 9일(현지시간) 보청기가 내장된 에어팟 최신 버전을 선보였다. 미국 NBC뉴스에 따르면 애플은 이날 미 캘리포니아주 애플파크 스티브 잡스 시어터에서 열린 신제품 발표 행사에서 처방전 없이 살 수 있는 보청기의 기능을 갖춘 에어팟 프로2를 공개했다. 에어팟 프로2의 보청기 기능은 경증에서 중등도까지의 난청이 있는 사용자를 위해 설계됐다. 사용자는 먼저 애플의 새 모바일 운영체제 iOS 18을 탑재한 아이폰이나 아이패드로 청력 테스트를 받으면 된다. 그러면 에어팟에서 즉시 제대로 들을 수 있게 지정된 수준으로 소리를 실시간 증폭하는 개인 맞춤형 조정이 이뤄진다. 전화통화 뿐만 아니라 음악과 다른 미디어의 소리를 들을 수 있게 한다. 청력 검사는 5분 정도 걸리며, 그 결과는 건강 앱에 비공개로 저장된다. 에어팟 프로2는 주변의 시끄러운 소리를 자동으로 줄여주는 청력 손실 방지 기능도 있어 라이브 콘서트에서 유용할 것이라고 애플은 소개했다. 애플은 에어팟 프로2의 보청기 기능에 대해 "이용자가 대화에 더 잘 참여할 수 있고 주변 사람 및 환경과 연결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애플은 세계보건기구(WHO)를 인용해 전 세계 약 15억명이 난청을 앓고 있다며 보
애플이 인공지능(AI) 기능을 탑재할 수 있는 자사의 최신 스마트폰 아이폰16 시리즈를 9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애플은 이날 미 캘리포니아주 쿠퍼티노에 있는 애플파크 스티브 잡스 시어터에서 신제품 발표 행사 '이제 새롭게 빛나다'(It's Glowtime)를 열고 아이폰16 시리즈 등 최신 제품을 선보였다. 아이폰16 시리즈는 6.1인치형(15.4㎝) 기본 모델과 6.7인치형(17.0㎝) 플러스, 고급 모델인 6.3인치형(15.9cm) 프로와 6.9인치형(17.4cm) 프로맥스로 구성됐다. 기본 모델과 플러스 사이즈는 지난해와 같지만, 프로와 프로맥스는 디스플레이가 더 커졌다. 베젤(테두리)을 줄여 기기 전체 크기는 늘어나지 않았다. 가격은 달러 기준으로 지난해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아이폰 기본 모델은 799달러(128GB), 플러스는 899달러(128GB), 프로는 999달러(128GB), 프로맥스는 1199달러(256GB)부터 시작한다. 기기 옆쪽에는 버튼 모양의 '카메라 컨트롤'이 도입됐다. 버튼만 눌러 카메라를 실행할 수 있고 사진 확대 및 축소, 빛 노출 등도 조절할 수 있다. 또 고급 모델에 4800만 화소 광각 카메라, 5배 광학줌 망원 카메
지구 온난화로 이탈리아 북부 돌로미티산맥 최고봉의 빙하가 16년 이내에 완전히 녹아내릴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고 9일(현지시간) 안사(ANSA) 통신이 보도했다. 이탈리아 환경단체 레감비엔테, 알프스 보호를 위한 국제위원회인 치프라, 이탈리아 빙하위원회의 조사 결과 돌로미티산맥에서 가장 높은 마르몰라다산 빙하의 두께는 하루에 7∼10㎝씩 줄고 있다. 지난 5년간 소실된 빙하의 면적은 축구장 98개에 해당하는 70㏊에 달한다. 현재의 속도로 빙하가 녹아내리면 2040년에는 마르몰라다산에서 더는 빙하를 볼 수 없을 것으로 세 단체는 추정했다. 오스트리아와 접한 트렌티노-알토 아디제 자치주에 걸쳐 있는 마르몰라다산은 3343m 높이의 돌로미티 최고봉으로, 한여름에도 정상 주변을 덮은 만년설을 볼 수 있는 곳이다. 과학자들이 19세기 말부터 매년 빙하 규모를 측정해왔기에 기후 변화의 속도를 감지하는 '자연 온도계'로 불리기도 한다. 세 단체의 전문가들은 "1888년 과학적 측정이 시작된 이래 빙하의 경계면이 1200m나 후퇴했다"며 "마르몰라다산 빙하는 돌이킬 수 없는 혼수상태에 빠졌다"고 전했다.(연합뉴스)
윌리엄 영국 왕세자의 부인 케이트 미들턴 왕세자빈이 암 화학요법 치료를 완료했다고 9일(현지시간) 밝혔다. 왕세자빈은 이날 엑스(X·옛 트위터)에 육성이 담긴 영상을 올려 "여름이 끝나가는 가운데 마침내 화학요법 치료를 완료했다고 말하게 돼 다행스럽다"고 말했다. 그는 "암이 없는(cancer free) 상태로 지내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하는 것이 나의 초점"이라며 "화학요법을 마치기는 했지만, 완치를 위한 여정은 길고 다가올 하루하루를 계속 보내야 한다"고 말했다. 왕세자 측인 켄싱턴궁은 현재 단계에선 왕세자빈이 암이 없는 상태인지 여부를 말하기 어렵다고 보고 있다고 BBC 방송은 전했다. 왕세자빈은 "하지만 나는 가능하다면 몇 달 안에 업무에 복귀해 몇몇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기를 고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영상 메시지는 왕세자빈이 지난 3월 22일 암 진단을 받아 항암치료 중이라고 영상 메시지로 공개한 지 5개월여 만에 나온 것이다. 당시 영상에서 왕세자빈은 지난 1월 중순 수술 후에 받은 검사에서 암이 발견됐다고 설명했다. 왕세자빈은 지난해 12월 크리스마스 행사 이후로는 공개석상에 일절 나서지 않았고 온갖 소문이 소셜미디어에서 떠돌았다.
그리스 정부는 여름 성수기에 세계적인 관광지인 산토리니와 미코노스를 방문하는 크루즈선 승객에 1인당 20유로(약 2만9700원)의 관광세를 부과할 계획이라고 8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로이터와 AFP통신 등에 따르면 키리아코스 미초타키스 그리스 총리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그리스 전체적으로는 구조적인 과잉관광 문제가 없지만 일부 유명 관광지는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미초타키스 총리는 과잉 관광으로 몸살을 앓는 산토리니와 미코노스의 경우 관광객이 주로 크루즈선을 통해 들어오기 때문에 크루즈선 승객에 대한 대책이 필요했다고 설명했다. 미초타키스 총리는 크루즈선 승객에 대한 관광세 수입의 일부는 지역사회의 기간시설 확충에 쓰일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미초타키스 총리는 이어 일부 지역을 대상으로 동시에 들어올 수 있는 크루즈선의 수도 제한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또한 단기 임대주택에 부과하는 세금을 인상하고 아테네 중심 지역에서는 새로운 단기 임대 허가 발급도 중단할 것이라고 미초타키스 총리는 말했다. 그리스는 지난해 약 3270만명의 관광객을 유치했으며 국내총생산(GDP)의 13% 정도인 200억 유로의 관광 수입을 기록했다. 지난해 크루
미국의 유명 래퍼 켄드릭 라마가 내년 북미프로풋볼(NFL) 챔피언 결정전인 슈퍼볼에서 하프타임 무대에 오른다고 NFL이 8일(현지시간) 밝혔다. 라마도 자신의 엑스(X·옛 트위터) 계정에 하프타임 쇼 무대 출연 소식을 알렸다. 슈퍼볼은 미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인 NFL의 결승전으로, 2쿼터 뒤 열리는 초대형 이벤트 하프타임 쇼는 당대 슈퍼스타에게만 허락된 '꿈의 무대'다. 지금까지 마이클 잭슨, 폴 매카트니, 롤링 스톤즈, 프린스, U2, 레이디 가가, 비욘세, 더 위켄드 등 최정상급 스타들이 이 무대에 섰다. 라마는 '래퍼들의 래퍼', '힙합의 시인'으로 불리며 대중성과 음악성을 동시에 인정받는 미국 힙합 뮤지션이다. 깊이 있는 가사, 정치적으로 의미 있는 퍼포먼스, 힙합·재즈·소울·펑크·시·아프리카 음악 등 여러 장르의 결합으로 찬사를 받아왔다. 지난 2018년 앨범 '댐.(DAMN.)'으로 힙합 뮤지션으로는 최초로 퓰리처상(음악 부문)을 받기도 했다. 라마는 이미 지난 2022년 2월 로스앤젤레스(LA)에서 열린 슈퍼볼 하프타임 쇼에서 닥터드레, 스눕독, 에미넘, 메리 제이 블라이지 등 1990∼2000년대 힙합 거장들과 함께 슈퍼볼 무대에 오른
스페인 페드로 알모도바르 감독의 첫 영어 장편 영화 '더 룸 넥스트 도어(The Room Next Door)'가 제81회 베네치아 국제영화제에서 최고 영예를 안았다. 7일(현지시간) 이탈리아 베네치아 리도섬에서 열린 베네치아 영화제 시상식에서 알모도바르 감독이 연출하고 줄리앤 무어와 틸다 스윈턴이 출연한 더 룸 넥스트 도어가 황금사자상을 수상했다. 삶과 죽음, 안락사, 여성의 우정을 다룬 이 영화는 베네치아 영화제에서 처음 상영됐을 때 18분간 기립박수를 받았다고 로이터 통신이 전했다. AFP 통신에 따르면 74세인 알모도바르 감독은 수상 소감을 밝히면서 "깨끗하고 존엄하게 이 세상에 안녕을 고하는 것은 모든 인간의 기본 권리라고 믿는다"며 "안락사는 정치적 문제가 아니라 인간의 문제"라고 말했다. 은사자상은 이탈리아 마우라 델페로 감독의 '베르밀리오'(Vermiglio)에 돌아갔다. 이탈리아, 프랑스, 벨기에 합작 영화인 이 작품은 제2차 세계대전 마지막 해 이탈리아 알프스를 배경으로 일어나는 일을 담았다. 여우주연상은 젊은 인턴과 불륜을 시작한 여성 사업가의 이야기를 다룬 에로틱 드라마 '베이비걸(Babygirl)'에서 과감한 연기를 펼친 니콜 키드먼이
영국의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서거하고 찰스 3세 국왕이 즉위한 지 8일(현지시간)로 2년이 됐다. 엘리자베스 2세는 2022년 9월 8일 스코틀랜드 밸모럴 영지에서 96세로 서거했으며 왕세자였던 찰스 3세가 바로 왕위를 승계했다. 영국 군주로서 최장기간인 70년간 재위한 엘리자베스 2세는 영국과 영연방의 정신적 지주로, 그해 9월 19일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전 세계 정상급 조문객이 집결한 가운데 장례식이 치러졌다. 찰스 3세는 여왕이 서거하면서 영국 역사상 최고령(73세) 국왕으로 자동으로 즉위했고 약 8개월 후인 지난해 5월 6일 치러진 대관식에서 왕관을 썼다. 젊은 시절 고 다이애나 왕세자빈과의 불화로 잦은 구설에 올랐고 어머니인 여왕의 인기가 워낙 높았기에 찰스 3세가 그만큼 지지와 인정을 받을 수 있을지 우려가 있었다. 그러나 즉위 직후부터 찰스 3세는 왕위 후계자로 지낸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왕위에 안착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새 정부의 국정 과제를 발표하는 '킹스 스피치'를 두 차례 했고, 오랜 관심 분야인 기후변화 대응을 강조하는 활동을 활발히 펼쳤다. 지난해엔 윤석열 대통령 국빈 초청, 한인타운 뉴몰든 방문 등 수교 140년을 맞은 한국과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