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으로 차량 사고 시 인공지능(AI)이 과실비율을 판정한다.
DB손해보험은 차량 블랙박스 영상을 활용한 AI 자동 과실비율 판정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DB손보는 또 이 시스템에 대해 특허를 취득했다고 전했다.
이 시스템은 차량 사고 발생 시 블랙박스에 기록된 영상을 AI가 자동으로 분석, 과실비율을 산정하는 첨단 기술이라고 DB손보 측은 덧붙였다.
기존에는 보험 심사자가 수작업으로 블랙박스 영상을 확인하고 과실비율을 판정했다. 그러다 보니 판정까지 많은 시간이 필요했고, 심사자의 주관적 판단이 개입될 가능성이 있었다.
하지만 이번 AI 시스템 도입으로 처리 시간 단축은 물론 보다 개관적이고 정확한 과실비율 산정이 가능하게 됐다.
DB손보는 블랙박스 과실 판정 시스템 개발 완료 후 실제 보험 업무에 적용할 계획이다.
또 AI 기반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보험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AI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의 보험 산업 진출을 지원하고, 산학협력을 통한 보험 기술 연구 개발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심진섭 DB손보 전략혁신본부장은 "AI 기술을 활용한 과실비율 판정은 보험 처리 과정의 자동화 및 객관화를 통해 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혁신적인 접근"이라며 "향후 다양한 보험 분야에서 AI 기술 적용이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DB손보는 지난 2월 빅데이터 기반의 고객 맞춤형 설계와 사전 인수 심사를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AI비서(사전U/W) 시스템'을 개발, 특허를 획득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