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항공우주국(NASA)이 태양계 외부에서 날아온 혜성을 둘러싸고 일각에서 외계 우주선이 아니냐는 추측이 나온 것에 대해 "전혀 근거가 없다"고 일축했다.
NASA는 19일(현지시간) 언론 브리핑을 열고 지난 7월 처음 발견된 성간 혜성(interstellar comet) '3I/ATLAS'를 약 4개월간 관측하며 찍은 다양한 사진들을 공개했다.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NASA 부국장 아미트 크샤트리야는 이날 브리핑을 시작하면서 "먼저 소문에 관해 얘기하고 싶다"며 "이 물체는 혜성이다. 모든 증거가 이를 혜성으로 가리키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한 과학자는 이 혜성의 이동 궤도나 구성 성분 및 그 밖의 요인들로 미뤄 혜성이 아니라 외계 우주선일 수 있다고 주장해 관심을 끌었다.
NASA 과학임무부의 니콜라 폭스 부국장은 "그것이 무엇인지 궁금해하는 것은 당연하다"면서도 "그것이 혜성 이외의 무엇이라고 믿게 할 만한 기술적 흔적이나 다른 어떤 것도 보지 못했다"고 밝혔다.
NASA는 그동안 미 연방 정부 셧다운 탓에 관련 소문에 대응하지 못했으며 혜성 사진 공개도 다소 지연됐다고 덧붙였다.
NASA가 이날 공개한 사진들은 이 혜성이 지난 10월 화성 근처를 지날 때 화성 궤도의 NASA 탐사선들이 약 1천900만 마일(3천만㎞) 거리에서 촬영한 것들로, 흐릿하긴 하지만 핵 주위의 특징적인 코마(가스와 먼지 구름)와 궤도를 따라 이어지는 먼지 꼬리가 선명하게 나타나 있다.
NASA는 지난 7월 초 칠레에 있는 '소행성 충돌 최종 경보시스템'(ATLAS)관측소에서 새로운 성간 혜성을 처음으로 관측했다면서 이 혜성의 이름을 '3I/ATLAS'로 명명했다고 밝혔다. 당시 이 혜성은 지구에서 약 4억2천만마일(6억7천만㎞) 떨어진 지점을 지나는 것으로 관측됐다.
NASA는 이 혜성이 우리 태양계 외부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진 세 번째 천체로, 현재 태양계를 통과해 지나가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폭스 부국장은 이 혜성을 "우호적인 태양계 방문객"(friendly solar system visitor)이라고 표현했다.
NASA 수석 과학자 톰 스태틀러는 이 혜성 핵의 크기를 정확히 측정하기 어렵다고 밝혔으나, 관측 결과를 바탕으로 직경이 "수천 피트에서 수 마일" 사이일 것으로 추정했다. 스태틀러는 핵이 "둥근 형태에 가깝다"고 덧붙였다.
혜성의 정확한 기원은 아직 불분명하지만, NASA 과학자들은 약 45억년 전에 형성된 우리 태양계보다 더 오래된 곳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고 있다. 스태틀러는 "생각만 해도 소름 돋는 일"이라고 말했다.
이 혜성은 오는 12월 19일 지구에 가장 근접할 예정이다. 그때 지구와의 거리는 약 1억7천만 마일(2억7천만㎞)로, 이는 지구와 태양 사이 거리의 두 배에 가깝다.
NASA는 이 혜성이 내년 봄 목성 궤도를 지나며 태양계를 통과하는 동안 여러 탐사선을 이용해 계속 관측할 계획이라고 밝혔다.(연합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