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자전거 사고 50%↑…"'브레이크 제거' 픽시 안전성 문제"

  • 등록 2025.10.27 12:08:35
크게보기

작년 자전거 사고로 75명 사망…"제동장치 제거 금지 법률 개정 추진"

 

작년 자전거 교통사고가 전년보다 8.3% 늘어난 5천571건 발생해 75명이 숨진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20세 이하 사고가 50% 넘게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안전부는 27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24년 기준 자전거 이용 현황'을 공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2024년 자전거도로 총길이는 2만7천754㎞로, 2020년(2만4천484㎞)보다 13.4% 늘어났다.

 

도로 종류별로는 ▲ 자전거·보행자 겸용도로 2만660㎞(74.4%) ▲ 자전거 전용도로 3천735㎞(13.5%) ▲ 자전거 우선도로 2천252㎞(8.1%) ▲ 자전거 전용차로 1천107㎞(4.0%)다.

 

공영자전거 보유 대수는 6만9천572대로, 2023년 대비 6.2%(4천67대) 많아졌다.

 

지역별 공영자전거 대여실적은 서울이 4천388만 건(75.0%)으로 가장 많았다. 대전 575만 건(10.0%), 경남 461만 건(8.0%), 세종 258만 건(4.0%) 등이다.

 

자전거 관련 단체 보험에 가입한 지방정부는 2022년 146개, 2023년 168개, 2024년 171개로 매년 늘어나고 있다.

 

자전거 교통사고로 인한 위험도 증가하고 있다. 작년에 발생한 자전거 교통사고는 5천571건으로, 전년(5천146건) 대비 8.3% 늘었으며 사망자 수는 64명에서 75명으로 증가했다.

 

사고 유형별로 보면 '자전거 대 차' 사고는 2023년 3천553건에서 2024년 3천638건으로 2.4% 증가했다. 같은 기간 '자전거 대 사람' 사고는 1천352건에서 1천677건으로 무려 24.0%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사고의 주요 원인은 '안전운전 의무 불이행'(66.1%)으로 분석됐다.

 

연령별로 보면 20세 이하 운전자 사고가 2023년 1천77건에서 2024년 1천620건으로 50% 넘게 증가했다.

 

국토종주 자전거길 12개 노선 총길이는 1천857㎞로, 작년 약 5만8천명이 이용해 2012년 시행 이후 누적 이용자가 100만 명을 돌파했다.

 

행안부는 "최근 청소년 사이에서 인기가 있는 픽시 자전거를 타는 일부 이용자들이 브레이크를 제거하고 운행하면서 안전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며 "자전거에서 제동장치를 제거하는 행위 등을 금지하기 위한 법률 개정안을 조속히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연합뉴스)

권혜진 rosyriver@raonnews.com
Copyright @2018 라온신문. All rights reserved.


추천 비추천
추천
0명
0%
비추천
0명
0%

총 0명 참여





  • facebook
  • youtube
  • twitter
  • 네이버블로그
  • instagram
  • 키키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