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홈플러스 사태’ 추가 조사…MBK파트너스 다시 정조준

  • 등록 2025.08.27 14:31:25
크게보기

 

금융당국이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해 MBK파트너스에 대한 추가 조사에 전격 착수했다.

 

이는 지난 3월 첫 검사 이후 5개월 만에 이루어진 것으로, 이번 조사에는 이찬진 신임 금융감독원장의 강력한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알려졌다.

 

27일 금융권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감원과 금융위원회는 이날 오전 서울 광화문 MBK파트너스 본사에 대규모 조사 인력을 투입해 현장조사에 착수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금융위와 금감원이 공동으로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해 불공정거래가 있었는지를 다시 살펴보자는 취지”라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MBK가 홈플러스를 인수할 당시 펀드 출자자(LP)를 모집하는 과정과 차입매수(LBO) 방식으로 자금을 조달한 과정 등 홈플러스 인수 전반과 자금 조달 구조를 집중 점검할 예정이다. 앞선 3월 검사에서는 MBK파트너스 경영진이 홈플러스 기업회생절차 신청 준비 작업을 숨긴 채 단기 채권을 발행했다는 사기적 부정거래 의혹에 무게를 뒀다.

 

금융당국은 당시 MBK파트너스가 신용등급 하락을 사전에 몰랐다고 주장했으나, 실제로는 등급 하락과 기업회생 신청 계획을 사전 인지한 구체적 증거를 확보해 관련자들을 검찰에 통보했다. 이번 재조사에서는 단기 채권 발행 의혹뿐 아니라, 인수 초기 LP 모집과 자금 조달 과정에서도 불공정거래 여부가 확인될지 주목된다. 만약 불공정거래가 드러날 경우 추가 형사 고발 가능성도 있다.

 

최근 홈플러스가 15개 점포 폐점 계획을 발표하자 정치권과 노동계 비판 여론이 격화되면서 금융당국의 대응 강화를 촉발했다. ‘홈플러스 사태 해결 공동대책위원회’는 지난 14일 기자회견에서 “15개 점포 폐점 즉각 중단과 회사 정상화를 위한 실질적 자구 노력을 요구한다”고 밝혔고, 국회 정무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위원들도 MBK파트너스 책임 규명을 위해 국회 청문회 개최를 촉구했다.

 

금융당국은 MBK파트너스의 사기적 부정거래 및 내부통제 위반 등에 대한 제재 절차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병환 금융위원장도 지난 21일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MBK파트너스에 대해 감독 당국 조치가 필요한 부분을 살펴보겠다”라고 밝혔다.

 

이찬진 금감원장은 지난해 참여연대 정책자문위원장 시절 “(국민연금이) MBK파트너스에 투자하거나 위탁운용사로 선정하는 것은 국민들에 대한 배임행위”라고 강도 높게 비판한 바 있다.

조영신 yscho@raonnews.com
Copyright @2018 라온신문. All rights reserved.


추천 비추천
추천
0명
0%
비추천
0명
0%

총 0명 참여





  • facebook
  • youtube
  • twitter
  • 네이버블로그
  • instagram
  • 키키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