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롯데손해보험이 금융당국과의 갈등 끝에 900억 원 규모 후순위채 조기상환(콜옵션) 계획을 보류했다. 롯데손보는 하반기 자본확충을 마친 뒤 상환 일정을 재조정하겠다는 방침이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롯데손보는 최근 금융감독원에 후순위채 조기상환 계획을 보류하고 자본확충 방안을 마련해 제출하겠다는 의사를 전달했다. 롯데손보는 “후순위채 투자자 보호를 위해 콜옵션 행사를 검토했지만, 금감원과 논의한 결과 중도상환은 보류하기로 했다”라며 “조속한 시일 내에 자본을 확충한 뒤 상환 일정을 재확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롯데손보는 5년 전 발행한 900억 원 규모 후순위채의 조기상환을 추진했다. 하지만 금감원은 롯데손보의 지급여력비율(K-ICS)이 150% 미만으로 감독규정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다며 조기상환에 제동을 걸었다. 현행 규정상 후순위채 상환 후 킥스 비율이 150% 이상이어야 콜옵션 행사가 가능하다.
롯데손보는 투자자 보호와 금융시장 안정을 이유로 조기상환을 강행하려 했으나, 금감원이 강하게 반대 입장을 밝히자 한발 물러섰다. 특히 금감원은 롯데손보의 자본건전성 저하가 심각하다고 판단하고 자본확충이 선행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와 관련, 이복현 금감원장은 지난 8일 금융상황 점검회의에서 “롯데손보가 지급여력비율 저하로 조기상환 요건을 미충족함에도 일방적으로 조기상환을 추진하는 것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한다”라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롯데손보는 하반기 중 유상증자 등 자본확충 방안을 마련한 뒤 상환 일정을 다시 확정할 계획이다. 다만 대주주가 사모펀드(PE)인 JKL파트너스인 점을 감안할 때 실제 자본확충이 원활하게 이뤄질지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이번 사태로 후순위채 투자자들, 특히 개인 투자자들의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롯데손보는 투자자 혼선을 최소화하기 위해 빠른 시일 내에 해결방안을 내놓겠다는 입장을 밝혔다.